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1.04.01 13:36

"수출 5개월 연속 증가…수출 회복력 가속화 위해 전방위 지원"

홍남기 부총리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친환경차 정비인프라·인력 확대 등을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300개를 확충하겠다"며 "차세대 전력반도체 핵심제품도 2025년까지 5개 이상 상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에는 김세훈 현대자동차 부사장, 허염 실리콘마이터스 대표, 김법민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 사업단장, 우정원 제넥신 사장 등이 자리했다.

홍 부총리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충전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이 이어지면서 안전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며 "친환경차 안전기반을 확립하고 소비자 우려 불식을 위해 기업의 자율적 리콜 등 안전확보 노력과 함께 정부차원의 안전성 제고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항목을 7개에서 11개로 확대한다. 충돌안전성 평가대상에 전기차(4종) 추가하고 수소버스 제작·안전기준을 신설한다. 새 유형의 차량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대응기술·장비개발을 2022년까지 완료하고 일반 내연기관차 중심인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의 친환경차 결함조사 시설·장비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친환경차 정비인프라·인력 확대 등을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300개 확충하고 자동차학과 교육과정 개편과 함께 수소차 검사소는 내년까지 2배 이상(10개소→23개소) 늘린다. 이외에도 전기차 충전설비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 충전설비 설치시 전기안전공사 안전점검을 의무화하고 점검항목·이력 등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도 오는 11월 구축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및 생산역량 확충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 디지털·그린 뉴딜의 핵심부품이지만 생산규모·기술력 부족 등으로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2025년까지 핵심제품 5개 이상을 상용화하는 등 국내 자립기반 구축 위해 수요연계형 상용화, 핵심기술개발, 제조역량 확충 등 3단계로 집중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반도체, 충전기 등 상용화과제 기획·발굴을 위한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협의회를 개최하고 내년까지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의 시제품 지원 물량을 월 300장에서 600장으로 2배 확대하기 위해 인프라를 증설한다.

특히 SiC(실리콘카바이드) 등 3대 핵심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팹리스·파운드리 등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부터 웨이퍼 제조까지 국내 전주기 밸류체인 조성에 주력한다. 또 민간 파운드리의 차세대 전력반도체 제조공정 구축을 적극 지원하고 내년까지 부산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내에 신뢰성 평가인증센터를 구축해 신뢰성을 확보한다.

한편, 홍 부총리는 3월 수출이 전년동월 대비 16.6% 증가한 것과 관련해 "5개월 연속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증가폭도 확대됐다"며 "수출 회복력이 가속화되도록 전방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장의 경기회복 노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우리 경제·사회 변화에 대한 구조혁신 및 성장경로 레벨업을 위한 미래대비 노력"이라며 "정부는 인구문제, 역세계화와 같이 우리 의지만으로 변화의 방향을 바꾸기 어려운 과제에 대해서는 적응적 구조개혁을, 산업·기업구조, 안전망, 인력양성 등 스스로 바꿀 수 있는 과제에 대해서는 전향적 구조개혁이라는 '쌍끌이 구조개혁' 작업을 착실하게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적응적 구조개혁의 대표적 예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문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극복해 나가기 위한 정책대응이고 '전향적 구조혁신'의 대표적 핵심전략으로는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및 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 등 소위 빅3 산업의 집중육성이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정부는 빅3 산업 세계 1위 경쟁력 확보 목표 하에 육성지원, 규제혁파, 생태계 조성, 인프라 확충 등 4가지 측면에서 집중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