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남희 기자
  • 입력 2021.06.08 16:17
현대차그룹 양재동 사옥 전경.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양재동 사옥 전경. (사진제공=현대차그룹)

[뉴스웍스=김남희 기자] 완성차 업체들의 2021 임단협이 잇따라 시작하는 가운데 특히 '고용안정'이 이번 노사 간 교섭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전기차 전환이라는 산업 패러다임 변화가 맞물리면서 올해 임단협은 그 어느 때보다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자동차 업체들이 상견례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2021 임단협에 돌입했다. 각 노조는 특히 전기차 전환에 따른 일자리 확보 방안을 거세게 요구하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에 따르면 이날 기아 노사는 2021 임단협 상견례를 진행했다.

기아차 노조가 이번 임단협 요구안으로 금속노조 공통 사안인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전년도 당기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외에도 '고용전망 확보' 등의 내용을 확정했다.

특히 노조는 고용안정위원회 교섭 과정 중 전기차 및 친환경차 생산 시 핵심부품 자체 생산 방안이 나오지 않으면 파업을 포함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아울러 올해 임단협 타결 조건으로 고용안정위원회의 마무리를 제시했다.

지난 27일 임단협에 돌입한 한국지엠도 노조도 일자리 확보를 위한 특별 요구안을 마련했다. 특별 요구안에는 신차 및 전기차 생산물량 확보 등을 포함한 미래 발전전망 요구와 창원·제주 부품물류센터 폐쇄 철회 및 지속 운영 등이 담겼다. 앞서 한국지엠은 구조조정으로 인한 창원·제주 부품물류센터 폐쇄를 두고 지난 3월부터 노사 갈등을 겪고 있다.

지난 26일 상견례를 열고 올해 임단협 교섭을 시작한 현대자동차 노조 역시 산업 전환에 따른 조합원 고용안정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각 노조들이 고용안정에 방점을 찍고 올해 임단협에 나선 것은 전기차 전환에 따른 인력 감소 위기감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차보다 부품이 절반가량에 불과해 생산공정이 크게 줄어든다. 아울러 업체들이 전기차 중심 사업구조 개편을 서두르며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국내 공장의 고용 인원 축소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현대차·기아 노조는 지난 달 사측이 발표한 전기차를 포함한 8조원 규모 미국 생산시설 구축 투자를 두고 "국내 공장의 투자가 먼저"라고 강력 반발한 바 있다. 이들 노조는 "국내공장 전기차·수소차 조기 전개와 핵심부품 국내 생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가 최우선"이라며 "국내 공장 투자로 고용안정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지엠의 경우 본사가 전기차 산업에 대한 막대한 투자 계획을 밝힌 가운데 국내 전기차 생산 확보가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3차 교섭을 마친 지난 7일부터 제너럴모터스(GM) 본사에 방문해 국내 전기차 유치 필요성을 제기하는 비전투어를 진행 중이다. 향후 교섭은 비전 투어 후 진행할 방침이다. 

문제는 반도체 수급 차질, 원자재 값 상등 등 잇단 악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막대한 투자 비용이 드는 전기차 전환을 진행 중인 완성차 업체가 이들 노조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을 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특히 현대차·기아·한국지엠 노조 측은 정년 연장까지 요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인력 조정에 대한 논의는 한층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한국지엠 노조는 오는 14일부터 국민연금과 연계한 정년 연장 국회 입법화를 위한 청와대 국민 청원운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