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남희 기자
  • 입력 2021.06.11 15:55
지난해 노조의 부분파업으로 멈춰선 르노삼성 부산공장 (사진제공=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생산라인 전경. (사진제공=르노삼성자동차)

[뉴스웍스=김남희 기자] 정부가 올해에만 약 3000억원을 투입해 기술·자금·인력·공정 등 4대 지원수단을 확충해 2030년까지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미래차 투자펀드를 조성하고, 전기차 미래인력 1만명을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0일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산업부는 미래차 전환에 따라 전동화·자율주행부품 등 새로운 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 전망인 가운데 부품산업에서 개별기업의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어 이를 정부차원에서 추진코자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시장성장 분야로 사업모델 혁신 지원, 사업재편 지원수단 확충이 전략의 기본 방향이다.

먼저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부품기업의 전략수립, 기술개발, 자금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한다. 권역별 지원플랫폼 구축과 인력 파견 등을 통해 2030년까지 1000개사 사업재편 및 사업화를 이끌 예정이다. 또 민간주도 '자율주행협회(가칭)' 설립 등으로 이종산업 협력의 장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시장성장 분야로 사업모델 혁신 지원을 통해서는 완성차 업체 신차개발 전략과 연계한 부품개발 및 미래차 핵심부품 14종 기술자립을 지원하고, 소재 국산화율을 70%에서 95%까지 제고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코트라 GP(Global Partnering) 센터 확대, 미래차 부품 무역보험 우대 등으로 부품기업의 글로벌화를 돕는다.

마지막으로 사업재편 지원수단 확충 전략으로 5000억원 규모의 미래차 투자펀드를 조성하고, 설비투자금 저리 융자를 검토해 부품기업에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또 후발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전용 R&D를 신설하고, 2025년까지 1만명 미래차 인력을 양성한다. 아울러 부품산업 생태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 2022년까지 10인 이상 사업장 70%에 스마트 공장을 보급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30년까지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해 국내 부품산업의 생산·고용·수출 규모를 유지·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매출 1조원 이상 부품기업을 현재 13개에서 2030년 20개로 확대하고, 1000만불 이상 수출부품기업은 현재 156개에서 250개로 확대하는 등 부품기업의 대형화·글로벌화를 집중 지원해 나간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