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윤희 기자
  • 입력 2021.08.25 11:40

용인·안성·이천 반도체 트라이앵글 구축 방안 등 제시

'경기도 북·동부 산업 어떻게 살려야 하나' 연구보고서 표지(사진제공=경과원)
'경기도 북·동부 산업 어떻게 살려야 하나' 연구보고서 표지(사진제공=경과원)

[뉴스웍스=최윤희 기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경기 북·동부 지역의 산업혁신전략 연구보고서 '경기 북·동부 산업 어떻게 살려야 하나'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에 발간한 '경기도산업단지 어떻게 살려야 하나'의 후속 연구다.

경기 북·동부지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 군사시설보호법, 환경규제 등 각종 규제가 중첩돼 있으며 절대적인 인프라 부족이 낙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8년 경기도 지역내총생산액(GRDP) 총 479조8222억원 중에서 남부지역 64.7%인 310조3550억원(1인당GRDP 4257만원), 북부지역 17.3%인 83조원(1인당 GRDP 2482만원), 동부지역 18%인 86조 4680억원(1인당 GRDP 3884만원)으로 북·동부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 더구나 시간이 지날수록 남부지역 편중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과원은 경기 북부지역 10개 시·군과 동부지역 7개 시·군의 산업특화도(NOHI) 분석, 9대 신성장산업 집중도, 산업단지 업종 특성 분석 방법을 통해 산업경제 낙후 요인, 산업 현황과 특징, 혁신할 수 있는 동력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경과원은 내부동력이 미약한 북·동부지역 산업혁신방안으로 ‘지역과 산업단지를 하나의 혁신단위’로 설정해 혁신을 추진하되, 인근의 미래산업 성장동력(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단지-고양 테크노밸리, 양주 테크노밸리)과 연계해 혁신을 추진하자는 '지역연계특성화전략’을 제안했다.

지역연계특성화전략은 북·동부지역의 산업단지 입주율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산업단지별 특성화 전략을 통해 지역 산업을 육성할 수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북·동부지역 시·군에 산재해 있는 공장 분포현황 및 시·군별 산업특화도와 집중도, 시·군별 산업육성정책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수립한 지역경제활성화 방안이다.

경과원은 북부지역 신성장동력과 지역, 산업단지를 연계하는 지역연계특성화 전략으로 ▲바이오산업: 고양테크노밸리=고양시(파주시+파주메디컬클러스터) ▲전기·전자, 정보·통신산업 : 고양테크노밸리=파주시+파주LCD산단+파주첨단산단=양주테크노밸리 ▲방송·영상·콘텐츠산업 : 고양방송·영상밸리+IP융·복합클러스터를 연계한다.

또한 산업집중도가 높거나, 정책적 지정산업인 ▲드론산업: 포천시+양주테크노밸리+양주남면산단+고양방송·영상밸리 ▲섬유산업: 양주시+양주테크노밸리+양주검준산단 ▲가구산업: 양주테크노밸리+남양주시+포천시+포천용정산단의 연계 전략도 제안했다.

동부지역은 팔당대책특별지역, 수변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환경규제가 중첩돼 지역 낙후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과원은 동부지역 지역연계특성화방안으로 세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첫 번째로 용인시 원삼면 일대 조성 중인 반도체클러스터와 용인시, 이천시의 반도체 유관산업, 안성 제1~3산업단지, 안성개정산업단지를 잇는 용인·안성·이천 반도체 트라이앵글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두 번째는 안성시의 산업집중도가 높은 금속·금속가공·기계장비산업은 주로 반도체 생산장비 및 디스플레이생산장비 제조업체로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거점산단으로 하고, 안성제1,2산단을 연계해 육성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세 번째는 광주시의 금속·금속가공·기계장비산업은 주형, 금형 관련 소규모 업체들로 개별입지 형태로 산재해 있는 점을 고려해 우선 집적화 후 소·부·장 중심의 산단대개조 사업을 추진 중인 반월·시화산업단지와 연계해 육성하는 방안이다.

지역 특화산업으로는 ▲태양광 및 연료전지산업(용인) ▲가구산업(광주) ▲도자산업(여주, 이천, 광주) ▲테마관광산업(양평 등) 등을 제안했다.

연구책임자인 전병선 경과원 과학이사는 “이번 연구는 2020년 발표한 '경기도 산업단지 어떻게 살려야 하나'의 후속 연구로 앞으로도 경기도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며 “연구보고서를 통해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책추진과 산업단지 총괄조직의 신설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