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남희 기자
  • 입력 2021.12.14 18:00
쌍용차 평택공장 생산현장에서 신차를 조립하는 모습. (사진제공=쌍용자동차)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생산현장에서 신차를 조립하는 모습. (사진제공=쌍용자동차)

[뉴스웍스=김남희 기자] 내년 자동차 분야 예산이 미래차 기술 경쟁력 확보와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 등을 위해 올해보다 30.2% 늘어난 4709억원으로 결정됐다. 특히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 개발, 수소 상용차 핵심부품 개발, 환경규제 대응 등 분야에 신규 예산을 편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보다 30.2% 증액된 4709억원의 2022년도 자동차 분야 예산이 국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미래차 기술경쟁력 확보·사업 전환 집중 지원

내년 자동차 분야 예산은 전기·수소·자율차 등 미래차 기술경쟁력 확보와 사업 전환을 집중 지원한다는 투자확대 기조에 따라 올해보다 1094억원(30.2%) 늘어났다. 미래차 기술개발(R&D)은 3288억원에서 4157억원으로 26.4%, 사업화지원(비R&D)은 327억원에서 552억원으로 69.1% 증가했다.

특히,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한 이차보전 사업과 자유공모형 '전환기 대응 R&D' 사업을 신설했다.  

구체적으로 미래차 R&D는 내연기관 부품업체의 미래차 분야 전환 지원, 전기·수소차 대중화, 하이브리드차 수출전략화, ICT 융합 신기술 및 자율주행 등 미래차 산업육성과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우선 핵심 부품·소재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국산화·자원 재활용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이와 관련 올해 ▲시장자립형 3세대 xEV 산업육성(591억원) ▲미래형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70억원) 외에도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개발에 30억원의 신규 예산을 편성했다.

또 수소 상용차(트럭·버스)용 핵심부품 국산화 및 건설기계·항공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서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개방형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분야별로 ▲수소모빌리티 2.0(수소 상용차 핵심부품개발) 90억원 ▲수소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개방형 연료전지시스템 설계검증 플랫폼 기술개발 48억원 ▲수소전기트램실증 96억원을 각각 배정했다.

자율주행차와 관련, 2027년 완전 자율주행(레벨4) 세계 최초 상용화를 위해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안전성·신뢰성 향상 기술개발을 확대 지원한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 62억원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 플랫폼 구축 96억원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개발 및 서비스실증 78억원을 책정했다. 또한 ▲초고난도 자율주행모빌리티 인지예측센서 기술개발 58억원 ▲스마트카(자동차산업기술개발)에 153억원의 예산을 결정했다.

차량용 반도체 설계·제조기술 내재화를 통한 공급망 안정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수요기반형 고신뢰성 자동차반도체 핵심기술개발(48억원) ▲와이드갭 소재기반 차량용 전력반도체 제조공정기반구축(23억원) 부문을 신규로 마련했다.

이 밖에 ▲하이브리드차를 수출 전략차종으로 육성하기 위한 부품 성능 고도화 기술개발 37억원 ▲전 세계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장화, 경량화, 배출가스 저감 기술 등 수출전략형 기술개발 지원에 220억원을 쏟는다.

◆기업 맞춤형 자유공모형 '전환기 대응 R&D' 과제 신규 추진

산업부는 이와 함께 미래차 준비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부품업체의 사업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 맞춤형의 자유공모형 '전환기 대응 R&D' 과제를 신규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미래차 전환기 대응 기술개발에 187억원 ▲수출연계형 자동차부품 기술개발에 87억원을 각각 지원한다.

한편 부품기업에 대한 이차보전 사업을 신설,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 및 인수합병(M&A) 자금 대출 시 금리의 2%를 보전해 1700억원의 융자금 지원도 실시한다.

자동차 업계 미래차 진출의 가장 큰 애로요인인 인력 부족 지원을 위해 인력 수요별로 선제적으로 인력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인력 양성 규모를 올해 1100명에서 2300명 규모로 대폭 확대했다. 또한 ▲산업 혁신 기반 구축사업 60억원 ▲스마트 특성화 기반 구축사업 107억원 등 지역별 산업 특성에 따른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 지원 예산도 마련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