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01.08 07:00

은행·증권사 "3월 대선 앞두고 1월 단행 적절…국고채 금리에 1.25% 가능성 이미 반영"

이주열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새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14일 개최된다. 현재 시장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보다 금리 인상이 더 빨리 이뤄질 수 있다고 언급한 점도 인상 확률을 더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미 올해 신년사에서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한다"며 금리 인상기조를 이어갈 뜻을 내비쳤다.

지난해부터 한은은 가계부채 급증, 집값 상승 등 금융불균형을 지속적으로 거론해왔다. 결국 지난해 8월과 11월 금융불균형 해소를 이유로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두 차례 인상했다. 

코로나 대응을 위해 2020년 3월 0.50%포인트 '빅 컷'을 단행해 단숨에 0%대(0.75%)로 떨어졌던 기준금리는 같은 해 5월 0.50%까지 하락했다. 이후 1년 3개월간 동결됐던 기준금리는 지난해 하반기 두 차례에 걸친 인상을 통해 1.00%까지 올랐다.

한은이 기준금리 1.00%에 대해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만큼 추가 금리 인상은 '예정된 이벤트'로 평가된다. 

(자료제공=한국은행)
(자료제공=한국은행)

시장은 1분기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1분기 금통위는 1월과 2월 두 차례 예정돼 있는데 시장의 금리 인상 시점 판단은 2월보다는 1월이다. 3월에는 대선과 이 총재의 임기 종료 등이 예정돼 있는 만큼 2월에 올리는 것은 부담스럽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25%로 인상할 전망"이라며 "이미 국고채 금리가 기준금리 1.25%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한 상태이고 2월 금통위(24일)는 대선을 8영업일 앞두고 있어 금리 인상 결정을 미룰 경우 이로 인한 정책적 이득보다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우리금융그룹도 1월 금융시장 브리프를 통해 "한은은 경기 회복세, 물가 상승압력 지속, 주택시장과 연계된 금융불균형 우려를 고려해 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12월부터 급격히 악화된 코로나 방역상황도 일부 진정되는 국면인 만큼 금리 인상에 크게 부담이 없을 전망이다. 아직도 하루 신규 확진자가 3000~4000명대로 발생하고 있으나 12월 중순 7000명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부분 감소했다. 1000명을 넘나들던 위중증 환자 수는 800명대로 줄면서 병상에 여유가 생겼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경제 주체들의 학습 효과가 있고 부스터샷 공급 등을 감안할 때 금리 인상을 당장 늦출만큼의 경제 충격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이를 감안하면 1월에 금리 인상을 진행할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고 전망했다. 

이어 "추가 인상 속도는 다소 완만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미 연준의 예상보다 빠른 긴축 행보를 감안할 때 이날 금통위는 매파적 시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최근 공개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미국의 경제와 고용시장, 인플레이션 전망을 감안하면 기준금리를 더 일찍 또는 더 빠른 속도로 인상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FOMC 의사록에서 주목할만한 부분은 정책 정상화 논의 시작, 연준 목표 상회 기대 인플레이션 가능성 언급, 최대고용 달성 전에 금리 인상 가능하다는 내용이 확인된 것"이라며 연준의 첫 기준금리 인상시점을 당초 전망했던 3분기에서 2분기로 수정했다.

연준의 이 같은 변화는 한은의 인상 결정을 보다 확고히 굳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 기준금리는 연준의 영향을 다소 받는 편이다. 한미간 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총재는 "선제적으로 인상해둔 부분이 있어 같이 따라가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지만 통상 한은은 연준보다 기준금리를 높게 설정하고 선제적인 금리 인상 등으로 격차를 유지하는 편이다. 이에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예상보다 일찍 시작된다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도 덩달아 빨라질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