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01.12 09:29

도소매·숙박음식 감소…홍남기 "6.5조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로 집중 지원"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자료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가 36만9000명 늘어 2014년(59만8000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시장이 1년 만에 코로나 여파에서 다소 회복한 모습이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72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9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20년 연간 취업자는 21만8000명 감소했다. IMF 외환위기 때였던 1998년(-127만6000명) 이후 22년 만에 가장 많이 줄었다. 다만 1년 만에 취업자는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회복된 모습이다.

특히 방역단계 격상으로 우려가 컸던 12월의 전월 대비 취업자 수(계절조정)가 6만3000명 늘면서 위기 이전 고점(2020년 2월) 취업자 수를 100.2% 상회했다. 12월의 전년동월 대비 취업자 수 증가규모는 77만3000명으로 지난해 월간 최다를 기록했다. 전년동월 대비 취업자 수는 9개월 연속 50만명 이상 증가하면서 호조를 보였다. 정부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고용충격이 작은 편이었으며 캐나다, 네덜란드 등에 이어 위기 이전 수준을 빠르게 회복한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청년층이 지표개선을 주도한 가운데 모든 연령대 고용률이 5개월 연속 상승했다. 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5%로 20대, 50대 등에서 올라 0.6%포인트 상승했다.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4.2%로 2.0%포인트 올랐다. 청년층 고용률·취업자 수는 10개월 연속 2%포인트·10만명 이상 증가했다. 청년층의 연간 고용률(44.2%)은 2005년, 취업자 수 증가폭(11만5000명)은 2000년 이후 최대 수준이다.

연령별로 취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에서 33만명, 20대에서 10만5000명, 50대에서 6만6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30대에서는 10만7000명, 40대에서는 3만5000명 각각 감소했다. 정부는 30대, 40대 인구 감소분을 고려하면 실질 취업자수는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9만8000명), 운수 및 창고업(10만3000명), 건설업(7만4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15만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5만5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4만7000명)에서는 감소했다.

지난해에도 코로나에 따른 대면서비스업종의 피해가 계속됐다. 다만 12월 숙박·음식점업은 6만6000명 늘어 증가 전환했다. 도소매업은 8만명 줄었으나 전달(12만3000명)에 비해서는 둔화됐다.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지난달 18일부터 시행된 강화된 거리두기가 이달에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향후 고용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해 더욱 예의주시하기로 했다.

지난해 실업자는 103만7000명으로 60세 이상에서 늘었으나 20대, 50대 등에서 줄면서 1년 전보다 7만1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7%로 0.3%포인트 내렸다. 청년층 실업률은 7.8%로 1.2%포인트 하락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해 고용에 대해 "비대면·디지털 전환 관련 민간 서비스업이 고용 회복을 주도했고 보건복지·공공행정 등 공공·준공공 부문도 민간 일자리 창출을 보완하고 있다"며 "방역위기 피해가 컸던 부문도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부는 피해계층 지원을 지속·강화하는 가운데 고용의 양적·질적 측면 모두에서 위기 전 수준 이상의 '완전한 회복'을 조속히 이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6조5000억원 규모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 등으로 피해부문을 집중 지원하고 취약계층 일자리 회복 지원 등 고용회복 격차 해소에도 더욱 힘쓰겠다"고 다짐했다.

또 "국민취업제도 내실화 등 중층적 고용·사회안전망 구축도 속도감 있게 이행할 것"이라며 "그간의 민간 일자리 중심 고용시장 회복세가 지속·강화되도록 33조1000억원 규모의 한국판 뉴딜 재정투자 등을 통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