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01.14 13:14

"선제적 인상으로 국내 경제 우선할 여지 남겨…올해 물가상승률 2% 중후반 수정 전망"

이주열 한은 총재가 14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은 유튜브 캡처)
이주열 한은 총재가 14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은 유튜브 캡처)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인 연 1.25%까지 올랐다. 다만 여전히 한은은 금리를 '완화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은은 1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1.25%로 결정했다. 이날 주상영 금통위원은 동결 소수의견을 냈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5개월 사이 기준금리는 0.25%포인트씩 세 차례 총 0.75%포인트 올랐다. 특히 지난해 11월에 이어 올해 1월, 연속된 금통위에서 인상을 결정한 것은 2007년 7월과 8월 이후 14년여 만에 처음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금리를 올렸지만 현재 경제상황과 성장, 물가 전망 등을 고려하면 지금도 실물경제에 비해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판단한다"며 "1.50%가 되도 긴축으로는 볼 수 없고 중립금리를 추정해보면 현 기준금리는 여전히 중립에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빨라지고 있는데 대해서는 "연준의 정상화가 빨라지고 긴축 강도가 세지면 중요한 고려요인이 되나 선제적으로 인상을 해둬서 앞으로 통화정책을 운영하는데 있어 국내 경제를 우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연준도 통화정책 정상화를 질서있게 하면서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고려하겠다고 천명해 왔다"며 "연준이 통화정책 스탠스를 미리 알리고 준비하게끔 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해서는 "소비의 움직임이 상당히 중요해졌다"며 "올 겨울 재확산으로 소비회복이 주춤하나 기조적인 회복흐름은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적응력이 과거보다 높아져 서비스 소비는 타격을 받고 위축됐지만 재화소비가 이를 상쇄해주고 있다"며 "정부의 여러 정책도 소비를 뒷받침해주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정부는 14조원 규모의 추경 편성을 공식화했다. 초과세수를 기반으로 편성하나 초과세수가 결산을 거쳐야 하는 만큼 우선 적자국채로 재원을 조달한다.

이 총재는 적자국채에 따른 금리 급등 가능성에 대해 "다른 요건이 동일하면 적자국채 발행은 시장금리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이외에도 국내 경제상황, 통화정책 기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입 등 여러 영향을 받는다"며 "추경 편성에 따른 영향을 지속 살피고 늘 그랬듯이 시장금리가 크게 변동하면 국고채 단순매입 등 시장안정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경을 편성하는데 한은이 금리 인상을 하면서 '엇박자'가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거시요건에 맞춰 통화정책을 정상화하지만 균등하지 못한 회복에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은 재정이 맡아야 한다"며 "작년과 같은 상황으로 엇박자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날 한은은 통화정책방향문을 통해 소비자물가에 대해 연간으로는 2%대 중반 수준을 상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총재는 "한 달전 물가상황설명회를 할 때에 비해 물가상승압력이 상당히 높고 범위도 넓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기존 경로를 크게 수정해 올해 물가상승률이 지난해(2.5%)를 웃돌 것으로 본다. 이 경우 2% 중후반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미 통화스와프 중단에 따른 불안심리 발생과 관련해서는 "초기에 사용하고 상당기간 사용하지 않았다. 스와프를 더 끌고갈 명분이 없어 종료한 것"이라며 일축했다.

가계대출 및 주택거격 전망에 대해서는 "가계대출 증가세와 주택가격 오름세가 둔화되는 모습이나 추세가 계속될지 단정하긴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