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남희 기자
  • 입력 2022.02.28 09:56

정만기 "한국GM·르노삼성 등 다국적 기업에 대한 투자지원책 필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소형 SUV 코나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소형 SUV 코나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뉴스웍스=김남희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량이 차량용 반도체 부족 등으로 6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중국의 경우 3년 연속 역성장에서 탈리, 상승세로 돌아선데다 수출이 전년 대비 100% 이상 급증하며 수출시장에서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심화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28일 발표한 '2021년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 현황'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자동차 생산량은 2020년 대비 1.3% 감소한 346만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순위는 반도체 대란 등 악재 속에서도 재고관리와 적극적 반도체 확보 노력 전개 등으로 감소폭을 최소화하면서 전년도에 이어 5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 차질과 코로나19 변이에 따른 재유행 등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전년 대비 2.0% 증가에 그친 7978만대로 집계됐다.

글로벌 상위 10위권 자동차 생산국은 중국, 미국, 일본, 인도, 한국, 독일, 멕시코, 브라질, 스페인, 태국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미국, 일본은 거대 내수시장의 이점을 기반으로 생산국 순위도 나란히 1~3위를 유지했다.

1위 중국은 3년 연속 역성장을 마치고 내수증대와 수출 급성장에 힘입어 3.4% 증가한 2608만대 생산을 기록, 13년 연속 1위 자리를 고수했다.

2위 미국은 3.8% 증가한 915만대를, 3위 일본은 르네사스 공장 화재, 델타변이 확산 등으로 2.7% 감소한 785만대를 기록했다.

생산량이 400~500만대 수준인 4~7위 국가는 코로나19 이후 순위 변동이 심화된 양상이다. 

4위를 차지한 인도는 2020년 락다운으로 인해 6위로 하락했다가 2021년 내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가깝게 회복하면서 29.6% 증가한 440만대를 생산해 한국과 독일을 제치고 순위가 2단계 상승했다.

한국은 전년도 내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데에 기인한 역기저 효과와 반도체 수급 부족으로 1.3% 감소한 346만대를 기록하며 6년 연속 감소세 이어갔다. 순위는 전년에 이어 5위를 유지했다.

독일은 하반기 이후 반도체 위기 심화로 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2020년 25.2% 급락에 이어 지난해에도 8.8% 추가 하락하며 343만대로 197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순위는 15년간 이어오던 4위에서 2단계 떨어진 6위에 머물렀다. 

7위에 오른 멕시코는 반도체 부족과 변이 바이러스 영향으로 1.0% 감소한 313만대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하며 순위변동이 없었다.

전년대비 11.8% 증가한 브라질은 전년도 9위에서 다시 8위로 상승했으며, 연중 내내 반도체 부족이 지속된 스페인은 7.5% 감소해 9위로 하락했다. 태국은 2014년 이후 8년 만에 10위권 내에 재진입했다.

지난해 국가별 자동차 생산 특징을 살펴보면 각각 일본, 한국, 독일, 멕시코, 스페인 등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반도체 부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침체 반복과 해운·항만 병목현상 등으로 수출 회복이 제한되며 생산 감소가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내수(약 2800만대 규모) 대비 생산역량(약 5000만대)이 큰 중국은 과잉공급 해소를 위해 수출에 노력한 결과 2021년도 수출이 전년대비 100% 이상 급성장해 수출시장에서 우리나라와 경쟁이 심화됐다.

또한 중국, 스페인 등에선 정부 개입과 지원으로 전기차 생산을 확대해 생산 비중이 중국 13.6%, 스페인 9.3% 등으로 높아지는 등 전기차의 비중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광활한 내수시장을 가진 미국, 중국 등은 규제와 보조금만으로도 전기차 생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나, 내수가 취약한 우리로서는 한국GM, 르노삼성 등 다국적 기업들에 대한 투자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태국이나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국가들의 경우 전기차 생산 시 최소 3년에서 최대 10년간 법인세 면제 등 파격적 생산 우대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우리도 전기차 생산 측면에서의 정책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R&D세액공제 등 세제지원을 경쟁국 수준으로 제고하는 한편, 노동·경영환경 개선으로 국내 투자활성화를 통한 생산 기반을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전기차의 경우 리튬·코발트·니켈 등 핵심 원자재와 소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점을 고려해 해외자원개발 확대 등을 통해 소재와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책도 마련해가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