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03.29 09:36

향후 물가상승 인식 늘어…한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연간 3%대 초반 전망"

(자료제공=한국은행)
(자료제공=한국은행)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오미크론 확산 영향에 떨어졌던 소비자심리지수가 3월 들어 소폭 상승 전환했다. 반년 째 하락했던 주택가격전망은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2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3월 중 103.2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올랐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 가운데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 지표다. 장기평균치(2003년 1월~2021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삼아 100보다 크면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3월부터 13개월째 100을 상회해 '낙관적'인 상황이다.

3월에는 6개 주요 지수 가운데 소비지출전망CSI 만 올랐다.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CSI는 보합세를 보였고 생활형편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CSI는 내렸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재생활형편CSI는 90으로 전월과 동일했고 생활형편전망CSI는 95로 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수입전망CSI는 99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고 소비지출전망CSI는 114로 4포인트 상승했다. 현재경기판단CSI는 71, 향후경기전망CSI는 87로 4포인트씩 내렸다. 취업기회전망CSI는 94로 1포인트 올랐다.

금리수준전망CSI는 136으로 3포인트 하락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2월 2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연 1.25%의 기준금리를 동결 결정했다. 3월에는 금통위가 없다. 시장은 4월 또는 5월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현재가계저축CSI는 94, 가계저축전망CSI는 97로 전월과 동일했다. 현재가계부채CSI는 102로 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부채전망CSI는 100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임금수준전망CSI도 113으로 4포인트 하락했다.

물가수준전망CSI은 154로 2포인트 올랐다.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3.7% 상승했다. 소비자물가는 다섯 달째 3%대를 유지 중이다. 최근 물가상승은 국제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 공급측 요인과 경기 회복에 따른 대내 수요 측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3월에도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물가가 지속되자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대폭 상향했다. 지난 2월 24일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을 3.1%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에 비해 1.1%포인트 상향한 수준이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월 전망 경로보다 높아져 상당기간 3%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연간으로는 3%대 초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판단했다.

주택가격전망CSI는 104로 7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규제,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여섯 달째 하락했던 주택가격전망CSI가 상승 전환했다. 2020년 12월 역대 최고치인 132까지 올랐던 주택가격전망CSI는 지난해 들어 넉 달 연속 내린 뒤 5월부터 다시 상승했다가 9월부터 하락세를 보였지만 3월 들어 주택가격 추가 상승 쪽으로 심리가 이동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3일 "2년 7개월 만에 서울·수도권·전국에서 한 달 이상 재고주택 가격이 동시 하락한 가운데 실거래가 측면에서도 2월까지 4개월 연속 내리고 있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연속적인 금리 인상, 가계부채 안정화, 주택공급 가시화 등 향후 시장 하향안정에 우호적 요건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3월 2주 들어 강남4구 등 일부에서 매물이 소폭 감소하고 수급지수가 반등하는 등 국지적 불안조짐도 있어 특이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은 2.9%로 0.1%포인트,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9%로 0.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비중은 석유류제품(83.7%), 농축수산물(32.6%), 공공요금(31.5%) 순이었다.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 휘발유 등 석유류 가격이 지속 상승함에 따라 올해 4월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20% 인하 조치를 7월 말까지 연장키로 했다. 여기에 더해 인하 폭을 30%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