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05.01 00:15

FOMC, 5월 이어 6월 0.5%p 올리면 기준금리 1.25~1.50%
금통위, 5월 기준금리 동결한다면 7월엔 인상 불가피

(사진·자료제공=뉴스웍스DB·한국은행)
(사진·자료제공=뉴스웍스DB·한국은행)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 4월에 이어 5월에도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당초 4월과 5월 중 한 차례 인상, 특히 4월 동결 후 5월 인상이 강하게 예상됐으나 당장 4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인상이 단행됐다.

한은 총재 부재 속에서 열린 4월 금통위에서 금통위원들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50%로 인상했다. 의장 대행을 맡았던 주상영 금통위원은 "2월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로 물가 상승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총재 공석임에도 불구하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4월에 기준금리가 올랐지만 5월에도 인상할 명분은 하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다. 우선 고물가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은 4월 소비자물가를 오는 3일 발표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2%로 3%를 넘은 뒤 11월(3.8%)과 12월(3.7%), 1월(3.6%), 2월(3.7%)까지 다섯 달 연속 3%대를 기록한 후 3월에는 4.1%까지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를 넘은 것은 2011년 12월(4.2%) 이후 처음이다. 4월에도 4%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강세로 유류세 인하 효과가 반감되고 원재료비·물류비 부담이 공산품·서비스 가격으로 전가되면서 상승폭이 확대될 것"이라며 4월 물가 상승률을 4.3%로 내다봤다.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19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의 올해 물가 상승률을 4%로 제시했다. 1월 전망보다 0.9%포인트 상향했다. 한은도 5월 경제전망에서 3.1%로 전망 중인 올해 물가 상승률을 4%에 근접한 수준으로 수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5일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가 모두 걱정되나 물가가 더 우려스럽다"며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5월 기준금리 결정의 가장 큰 변수로 미국 기준금리를 꼽았다.

5월에는 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정돼 있다. 연준은 우리시간으로 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른바 빅스텝이다.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 주장도 제기됐으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0.50%포인트 인상되면 미 기준금리는 0.75~1.00%가 된다. 한은 기준금리(1.50%)와는 상단에서 0.50%포인트 차이가 난다. 한은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4월까지 4번에 걸쳐 0.25%포인트씩 총 1.00%포인트를 인상해 놓은 만큼 금리 역전까지는 일단 여유가 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FOMC는 경제전망 보고서 발표 등이 없기 때문에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통해 스탠스를 확인해야 한다. 높은 물가 레벨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 IMF 총회와 비슷한 수준의 매파적인 스탠스를 확인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를 통해 6월에도 빅스텝 인상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만약 6월 FOMC에서 빅스텝이 단행되면 미 기준금리는 1.25~1.50%가 된다. 5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없다면 한국과 미국간 기준금리는 당분간 동일해진다. 6월에는 예정된 금통위가 없기 때문이다. 7월 금통위는 FOMC(28일)보다 이른 14일에 열린다. 이에 5월 기준금리가 동결되도 7월에는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미 금리차 축소 등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입 둔화 우려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난 29일 "외국인자금의 유출입은 금리차 외에도 환율 전망, 실물경제 여건, 대외신인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며 "여타 신흥국과는 차별화되는 우리경제의 펀더멘털과 견고한 대외신인도, 충격 흡수능력, 과거 내외금리 역전 시기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세가 지속됐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현재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 자금의 급격한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