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전다윗 기자
  • 입력 2022.07.12 10:54

"앱 소프트웨어 분야 100대 기업에선 하나도 없어"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뉴스웍스=전다윗 기자] ICT 강국으로 불리는 한국이지만, 세계 100대 ICT 기업 중 국내 기업은 2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2일 기업 분석 데이터베이스인 S&P Capital IQ로 세계 ICT 기업 시총 100대 기업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시가총액 순위로 뽑은 세계 100대 ICT 기업에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9위), SK하이닉스(56위)뿐이다. 미국 기업이 56개로 절반을 차지했고, 중국 9개, 일본 8개, 인도 4개, 대만 3개 기업이 순위에 포함됐다. 

향후 100대 기업에 진입할 차세대 주자들로 구성된 200대 기업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중국기업 수가 27개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기업 또한 17개가 포함되어 일본 ICT 잠재력이 여전히 건재함을 드러낸 반면, 한국 기업은 삼성SDI·네이버·카카오만 포함되며 5개에 그쳤다. 

한국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0대 기업에도 한국 기업은 SK하이닉스(11위)와 SK스퀘어(63위) 단 2곳밖에 없었다. SK스퀘어가 SK하이닉스의 모회사인 투자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1개사인 셈이다. 업종 분류상 '기술 하드웨어'로 분류되어 있는 삼성전자를 포함해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 반도체 기업은 총 3개사에 불과한 것이다. 경쟁국인 중국(41개사), 미국(31개사), 대만(15개사) 등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우리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은 7.4%로 경쟁국인 미국(17.1%), 네덜란드(15.4%), 일본(13%), 대만(9.5%)에 비해 매우 낮아 반도체의 미래 경쟁력을 낙관할 수만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본은 2019년 3.5% 불과했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을 2년 만에 급격히 늘리며 국가 차원에서 공격적으로 반도체 부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주요국이 반도체에 국가 재원을 적극 투입하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의 지원은 다소 미흡하다. 전경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부터 제공받은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매출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 통계(2014~2018년)에 따르면 중국 SMIC 6.6%, 미국 마이크론 3.8%, 네덜란드 NXP 3.1%에 비해 삼성전자는 0.8%, SK하이닉스는 0.5%를 기록했다.

ICT산업 내 5대 세부 업종별로 각각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대 기업을 추려본 결과, 한국은 반도체·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모든 ICT 핵심 산업에서 각 1~2개 기업만이 포함되어 있어 ICT 세계 무대에서 존재감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ICT 톱5 업종에 진입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글로벌 100대 기업에 한국은 더존비즈온(74위), 안랩(82위) 등 2개 기업만 이름을 올렸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톱100 기업이 주로 분포한 국가는 미국(34개사), 중국(32개사), 이스라엘(6개사), 일본(5개사) 등이다. 시가총액 합계 기준으로는 미국(34개 기업)이 한국(2개사)의 1741.4배에 달했다. 중국(37.4배)과 이스라엘(21.1배) 역시 시가총액 합계 기준 한국과 시스템소프트웨어 분야 경쟁력 차이가 상당했다. 특히 이스라엘과 일본, 폴란드는 100대 기업에 진출한 기업 수는 적으나 기업 1개사 평균 매출액이 높아 실적이 뛰어난 알짜기업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화상회의의 확산으로 줌(Zoom) 등이 급부상했던 ICT 2대 업종인 앱 소프트웨어 분야 100대 기업에 한국 기업은 전무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한국이 IT 강국이라지만 세계시장이라는 냉혹한 전쟁터에서의 성적표는 다른 결과를 말한다"며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고 사실상 소프트웨어 분야 경쟁력도 낮다는 점이 우려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차세대 업종인 사이버안보의 경우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양국 협력을 강조할 정도로 유망한 분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이 국제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를 비롯해 관련 각종 제도 정비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