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2.07.31 18:48

비대위원장 후보군 정우택·정진석·조경태·주호영 거론…이준석 대응에 관심 집중

 

권성동(오른쪽 네 번째)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29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민의힘 홈페이지 캡처)
권성동(오른쪽 네 번째)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29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민의힘 홈페이지 캡처)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이 '초읽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지난 29일 배현진 최고위원의 초고위원 사퇴를 필두로 31일 하루 동안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과 조수진·윤영석 최고위원이 줄줄이 사퇴를 선언했다.

이에 더해 성일종 의원까지도 정책위의장직에서 사퇴 의사를 표명하면서 이제 국민의힘 최고위원 9명 가운데 중징계로 '사고' 상태에 있는 이준석 당대표와 김용태·정미경 최고위원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사실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된 것으로 읽혀진다.

다만, 두 가지 관전 포인트는 남았다. 하나는 김용태·정미경 최고위원까지 흔쾌히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하느냐의 여부와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요건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느냐의 문제다.

김용태·정미경 최고위원이 국민의힘 안팎의 대세를 거스르면서까지 최고위원직을 고수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설령 고수한다 치더라도 비대위 체제 전환은 완성될 가능성이 있다. 

당헌·당규상 규정된 비대위 전환 요건은 '당 대표의 궐위'와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의 요건을 좁게 해석해 당 지도부 4명 이상이 사퇴하면 비대위체제 자동전환이 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질 경우, 김용태·정미경 최고위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은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두 최고위원이 끝까지 저항하면서 직을 내려 놓지 않은 행위가 각자의 정치적 욕심으로 비춰지면서 두 최고위원의 향후 입지가 좁아질 확률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상황은 전자인 '당 대표의 궐위'가 아닌 '사고'로 규정돼 있다. 결국 '최고위 기능 상실'을 적용해야 하는데, 과연 최고위원 몇 명이 사퇴해야 이 단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는지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최고위원 총원 기준에서부터 현재 총원인 9명인지, 아니면 이 대표와 사퇴한 김재원 최고위원을 뺀 7명인지, 선출직 최고위원만 치는 6명인지 등 해석이 제각각이다.

여기에 비대위원장 지명 권한을 놓고도 논란의 가능성이 있다. 당규는 비대위원장 임명권자를 당대표 또는 당대표 권한대행으로 명시해놓고 있기 때문이다.

이준석 대표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인사들은 벌써부터 이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저항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 대표와 가까운 김용태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당헌당규를 아무리 살펴봐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아무런 명분도 근거도 찾아볼 수 없다"며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에서 비상대책위원회장을 임명할 권한도 명분도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당내에선 벌써부터 비대위원장 후보군들이 '몸풀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비대위원장 후보군으로 정우택·정진석·조경태·주호영 등 당내 5선·중진 그룹과 함께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등 원외 인사의 이름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아울러, 이번 비대위는 조기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관리형'이 될 가능성이 적잖아서 일부 유력 당권 주자들은 당내 공부 모임 등으로 사실상 당권 경쟁 레이스는 시작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전국을 유랑하면서 '링밖'에서 대중들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있는 이준석 대표의 대응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국민의힘의 비대위 체제 전환은 이 대표의 입장에선 징계 후 복귀가 원천적으로 막히는 셈이므로 이 대표가 이에 대해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절차를 통해서 이런 움직임에 총력 대응으로 나올 것이라는 예측이 나돈다.

여러 가지 정황상 국민의힘의 8월은 본격적인 '체제 정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