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2.09.08 10:31

"회담 일자, 장소, 의제와 형식 등 북한 측 희망 적극 고려할 것"
2018년 합의 '상설면회소·화상 상봉·영상 편지 교환' 진척 없어

권영세 통일부장관. (사진=통일부 홈페이지 캡처)
권영세 통일부장관. (사진=통일부 홈페이지 캡처)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8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간 회담을 북한에 공식 제의했다.

권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통일부 장관 명의의 담화 발표를 통해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남북 당국간 회담을 조속히 개최하자"고 북측에 제안했다.

권 장관은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해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며 "남과 북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직접 만나서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한 인도적 사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북한과의 회담에 임할 것"이라며 "회담 일자, 장소, 의제와 형식 등도 북한 측의 희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북한당국이 우리의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나올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면서 "국민들께서도 정부의 노력을 성원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역설했다.

이런 가운데,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8월 말까지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했으나 사망한 신청자 수는 총 2504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기준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사람은 총 13만3654명인데 이 가운데 생존자는 약 32.7%(4만3746명)에 그친다. 나머지 67.3%(8만9908명)는 이미 고인이 됐다.

생존한 신청자 대부분도 고령이라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90세 이상은 29.4%, 80대는 37.0%로 80세 이상이 3분이 2를 차지한다.

한편,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8월 처음 시작돼 2018년 8월까지 총 21회 열렸다.

하지만, 지난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한반도 정세가 급랭하면서 4년 넘게 재개되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2018년 9·19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됐던 상설면회소 개소와 화상 상봉, 영상 편지 교환 역시 전혀 성사되지 못한 상태다.

북한은 지난 6월 집중호우와 최근 태풍 '힌남노' 등 급박한 자연재해 상황에서도 남측의 협조 통지문을 수령하지 않는 등 대화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