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2.10.03 07:30
차진형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10월 1일부터 신한금융투자도 신한투자증권으로 이름을 바꿨다. 앞서 하나금융투자도 하나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해 이제 금융투자란 이름 단 곳은 DB금융투자만 남았다.

증권사들이 '금융투자'란 이름을 사용한 배경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때문이다. 2009년 시행된 자본시장통합법은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 신탁업 등을 통합해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회사를 금융투자로 정의했다.

당시 금융당국은 '한국판 골드만삭스'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흩어져 있던 법을 통합했다.  

증권사 역시 기대감이 높았다. 증권 영역만으론 성장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글로벌 투자회사와 같이 다양한 IB 업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일부 증권사는 사명에 '금융투자' 또는 '투자증권'으로 바꾸며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법 시행 13년이 지난 지금, 현실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소비자 혼란만 가져왔단 지적이다.

신한투자증권 역시 ‘증권’이 고객에게 더 친숙하게 느낀다며 사명 교체 이유를 밝혔다. 하나증권도 같은 이유로 사명을 변경한 사례다.

그간 해외에서도 불필요한 오해를 제공했다. 금융투자의 영문이 'Financial Investment'로 표기되다 보니 증권사보다는 벤처투자로 인식되기 쉬웠다. 해외에선 'Securities'가 증권사로 이해되는데 편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미래에셋대우가 미래에셋증권으로, 메리츠종금증권이 메리츠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 실적이 급성장한 것도 명확한 정체성을 되찾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사실 이름을 바꾼다고 기업 이미지가 곧바로 변화되는 것은 아니다. 증권사들은 오히려 정부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금융투자 이름을 사용한 것도 자본시장 본연의 역할을 하겠단 의지가 강했다"며 "하지만 현실은 규제 속에 갇혀 제대로 글로벌 선진투자회사와 같이 IB 역량을 발휘할 수 없었다"고 꼬집었다.

금융투자협회도 지난 7월 정치권을 만나 자본시장통합법 개정안 통과를 요구했다.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도입, 투자형 ISA 저변 확대 등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제는 국회가 자본시장 발전을 위해 화답해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