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10.05 14:42

농식품부, 시설원예·축사의 30% 스마트화 추진…농업직불제 규모 2027년까지 5조로 확대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또 농업생산의 30%를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한다. 그간 식량안보를 위해 노력한 기존 농업인을 위해 소득·경영·생활 안전망은 확충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농업혁신 및 경영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2027년까지 창의적·혁신적 생각을 갖춘 40세 미만 청년농 3만명 육성을 목표로 창업 준비단계부터 성장단계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우선 5년간 청년농 총 2만6000명 신규 유입을 위해 영농정착지원사업, 후계농업경영인 등의 선정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 청년농에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금의 지원 대상은 2000명에서 내년 4000명으로 2배 늘리고 단가도 월 100만원에서 110만원으로 인상한다.

청년농이 농업 창업의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꼽는 농지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농 대상 농지 공급은 대폭 확대한다. 청년농이 원하는 농지를 30년간 임차해 농사를 지은 후 매입할 수 있는 선임대-후매도 제도를 내년부터 도입한다. 청년농의 스마트팜 창업을 돕기 위해 온실을 지을 수 있도록 땅을 정비해 임대형 스마트팜, 임대주택을 모두 제공하는 청년농스타트업단지도 내년부터 신규 조성한다.

또 농지·시설·농기자재 등 농업 기반 투자시 투자·담보 능력이 부족한 청년농의 금융부담은 크게 완화해주기로 했다. 청년농에게 지원하는 융자금(후계농업경영인 육성사업)의 상환기간은 15년에서 25년으로 확대하고 금리는 2%에서 1.5%로 내려 연 상환 부담을 약 45% 줄인다.

스마트팜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최대 30억원까지 융자(청년스마트팜 종합자금)를 지원하며 운영 중 일시적 경영 위기 시 1년간 상환을 유예(최대 3회)할 수 있게 해 안전망을 강화한다.

이외에도 생애 첫 투자를 희망하는 청년농에게는 금융 공공기관이 담보 없이 직접 투자(농식품통합지원펀드)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청년농에게 투자하기 위한 청년농 전용펀드(영파머스펀드)는 2027년까지 1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또 청년 등이 농촌에 만족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주택·돌봄·교육 등 필요한 생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생활권을 400개소 구축하고 청년보금자리주택 조성도 확대한다.

정부는 이번 계획 이행을 통해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을 육성하고 이후에도 유입 추세를 이어간다면 2040년에는 청년농 비중이 10%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2020년 기준 청년농 비중은 1.2%에 불과하다.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부는 자연재해, 탄소중립,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 대응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설원예·축사의 30%를 스마트화한다. 이를 위해 농업인·기업·전문가 등 민간 역량 강화, 품목별 스마트팜 확산, 데이터·인공지능(AI) 플랫폼 등 스마트농업 확산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한다.

스마트농업 민간 혁신 주체의 역량은 강화한다. 농업인의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을 키우기 위해 스마트농업 보육센터(4개소)를 중심으로 생산자 단체와 협력해 실습 중심의 현장 교육을 강화한다. 기술적 역량을 갖춘 전문 기업을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농업 기술·장비·서비스 기업으로 육성하고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도 양성한다.

기존 온실·축사에 환경제어·데이터관리 등 즉시 적용 가능한 기술과 장비를 보급해 스마트 시설로 전환한다. 딸기, 화훼 등 온실에서 재배하는 주요 품목의 주산지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AI 서비스 보급을 확대하고 축사에는 악취·질병 관리 등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시설·장비와 축산 사물인터넷(IoT) 보급을 늘린다.

특히 첨단화·지능화된 온실과 축사를 신축해 청년농과 선도농에게 제공한다. 간척지 등 유휴부지에 대규모(각 100ha 내외)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장기 임대한다. 스마트 축산 단지 조성은 시설이 노후화되고 주거지에 인접해있는 축사 이전과 연계해 추진한다.

각종 생산기반의 기후변화 대응력은 높인다. 가뭄에 대비한 밭작물 자동 관배수 시스템 등 스마트 기술·장비 보급을 확대하고 자율 주행 트랙터·콤바인 및 드론·로봇 등 첨단 농기계를 개발·보급한다. 기후에 민감한 노지작물의 적정 생산 솔루션 개발·보급을 위해 인공위성·드론의 영상정보 활용도 확대한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이 4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이 4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한편 정부는 스마트농업 등 원활한 농업혁신을 뒷받침하고 그간 식량안보를 위해 노력한 기존 농업인을 위해 소득·경영·생활 안전망은 확충하기로 했다.

먼저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공급망 불안으로 치솟은 국제 원자재가격 및 금리·환율 상승에 의한 농가 경영비 부담을 완화하는 차원에서 비료·사료 등 농자재 가격 구입비용을 내년에도 지원한다.

2017~2019년 직불금 지급 농지로 대상을 한정했던 기본직불제의 농지 요건을 삭제해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내년부터 56만2000명에게 직불금을 추가로 지급한다. 식량자급률 제고 및 가루쌀·밀·콩 생산 확대를 위한 전략작물직불제도 도입한다.

친환경직불 확대 및 탄소중립직불 등도 검토해 농업직불제 관련 규모를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5조원으로 확대하고 농업재해보험 대상 품목도 80개로 늘려 농가의 기후변화 대비 안전장치를 강화한다.

이외에도 영세·고령농의 노후 소득 안정을 위해 농지연금에 더해 임대료 수입과 연금을 함께 받는 임대형 우대상품(연금액 5% 추가지급)을 도입한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첨단기술에 친숙한 청년농이 유입되고 청년층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관련 핵심 기술을 우리 농업에 적용하면 우리 농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힘차게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청년농 육성과 스마트농업 확산을 주요 농정과제로 관리하면서 식량안보를 위해 노력해 온 기존 농업인에 대한 소득·경영·생활 안정 장치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