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12.31 06:00

2분기 가스요금·대중교통비 인상…통계청 "1월 물가도 5% 수준 등락"

(사진제공=픽사베이)
(사진제공=픽사베이)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이제 내일이면 2023년, 계묘년 새해가 밝아오겠지만 물가 상황은 당분간 어두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나 기관들은 내년 물가가 '상고하저'(상반기 높고 하반기 낮음) 흐름을 보여 연간 3%대 중반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중이다. 상반기까지는 고물가 흐름이 계속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올해 12월에도 소비자물가가 5%대 상승하면서 연간 물가 상승률은 기어코 5%를 넘었다. 연간 소비자물가가 5%를 넘은 것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이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전망한 5.2%에 비해서는 0.1%포인트 낮은 만큼 최근 물가 상황은 예상보다는 다소 개선되는 흐름이라고도 볼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를 기록했다. 연초 3%대에서 시작해서 7월(6.3%)에는 6%대까지 치솟았다가 최근 5개월 동안은 5%대 상승세가 이어졌다. 7월을 정점으로 상승률 자체는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당분간 5% 내외의 고물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지난 30일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내년 초에도 5% 내외의 상승률이 이어질 것"이라며 공공요금 인상 등을 상방리스크로 꼽았다.

일단 전기요금 인상은 확정됐다. 가스요금 인상 시점은 내년 2분기로 밀렸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내년 1분기 전기요금을 ㎾h당 13.1원 인상한다"며 "2분기 이후에는 국제 에너지 가격, 물가 등 국내 경제 및 공기업 재무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요금 인상여부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스요금은 동절기 난방비 부담, 전기요금 인상 등을 고려해 내년 1분기에는 동결하고 2분기 이후 인상 여부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1분기 전기요금 인상에 따라 월평균 전력사용량이 307㎾h 정도인 4인 가구는 매달 4022원(부가가치세, 전력산업기반기금 미포함)을 더 부담해야 한다. 물가 상승요인인 셈이다. 정부는 이번 전기요금 인상이 물가를 0.15%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했다. 

2분기로 미뤄진 가스요금 인상도 결국 내년 물가 상승요인이 된다. 2분기에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 압박도 있다. 서울시는 내년 4월 말 대중교통 요금을 300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서울 대중교통 일반요금은 카드 기준으로 지하철이 1250원, 시내버스는 1200원이다. 300원씩 인상되면 지하철은 1550원, 시내버스는 1500원이 된다.

각종 제품 가격도 연초부터 줄줄이 오를 예정이다. 먼저 편의점에서 파는 코카콜라 가격의 경우 350㎖는 1900원에서 2000원, 1.5ℓ는 3800원에서 3900원으로 각각 오른다. 펩시콜라 가격도 인상된다. 롯데칠성음료는 내달 1일부터 펩시콜라 캔·제로 캔 355㎖의 편의점 가격을 1700원에서 1900원으로 200원씩 인상하기로 했다.

커피빈코리아는 내달 3일부터 우유가 포함된 음료 가격을 200원씩 올리기로 했고 LG생활건강은 세제, 샴푸, 치약 등 주요 생필품 8종의 가격을 최대 18% 인상한다.

이른 설 명절도 연초 물가 불안요인이다. 최근 추위에 더해 설 명절 성수품 수요 확대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내년에도 시작부터 공공요금 인상, 연초 제품가격 조정, 설 명절 성수품 중심 수요 집중 등에 따른 물가 불안이 우려된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흰 우유 가격 인상 등을 고려할 때 가공식품의 출고가 인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내년부터 유류세 인하 효과가 축소되는 만큼 석유류 가격도 오름세가 다소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전기요금도 인상되고 농축수산물 가격은 날씨 요인이나 명절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오름세가 다소 확대될 수 있다"며 "다음 달 물가는 5% 수준에서 다소 등락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내년에도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취약계층에 대한 전기·가스요금 부담 완화 등 에너지 복지를 강화하는 가운데 명절에 대비한 설 민생안정대책도 1월 초 내놓기로 했다. 또 농산물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 등도 마련해 물가안정 기조의 조속한 안착을 추진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