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3.03.15 09:26

20대 9만4000명·40대 7만7000명 감소…"일자리 TF 중심으로 고용상황 면밀 점검"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취업자 수가 24개월째 늘었지만 증가폭은 기저효과와 경기둔화 영향 등으로 9개월 연속 둔화됐다. 또 고령층 중심의 증가세가 계속된 가운데 수출 부진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도 두 달째 줄었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23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취업자는 2771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2000명 증가했다.

이는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폭이다. 다만 전월 대비(계절조정) 취업자 수는 27만7000명 늘었다. 계절조정 취업자 수가 증가한 것은 4개월 만이다. 

지난해 1~2월 100만명이 넘었던 취업자 증가 규모는 5월(93만5000명)을 기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9월에는 70만명대, 10월에는 60만명대, 12월에는 50만명대로 떨어졌고, 올해 1월에는 40만명대, 2월에는 30만대로 내려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월 고용률은 61.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올랐다. 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8.0%로 30대와 60세 이상, 50대 등에서 상승하면서 0.6%포인트 올랐다. 이는 2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반면 15~29세 청년 취업자는 12만5000명 감소했다. 전년도 대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인구감소, 경기 둔화 등으로 4개월 연속 줄었다. 이에 청년층 고용률도 45.5%로 0.4%포인트 감소했다.

연령별로 취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60세 이상 41만3000명, 50대 7만7000명, 30대 2만4000명 각각 늘었다. 반면 20대는 9만4000명, 40대는 7만7000명 줄었다. 60세 이상 증가폭이 전체 취업자 수 증가규모(31만2000명)를 10만명 넘게 상회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9만2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17만6000명), 정보통신업(4만3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어났으나 도매 및 소매업(-7만6000명), 농림어업(-4만4000명), 운수 및 창고업(-4만4000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특히 수출 부진 영향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도 2만7000명 줄었다.

2월 실업자는 89만명으로 60세 이상, 40대 등에서 줄면서 1년 전보다 6만4000명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23개월 연속 줄었다. 실업률은 3.1%로 0.3%포인트 하락했다. 20대, 30대에서 올랐으나 60세 이상 등에서 떨어졌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675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만6000명 감소했다. 쉬었음(16만5000명) 등에서 늘었으나 육아(-18만7000명) 등에서 줄었다. 구직단념자는 35만8000명으로 15만5000명 감소했다.

한편 올해 연간 취업자 증가폭은 10만명대 초반 정도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인 2022년 수준과 유사하나 실업률은 소폭 상승하고 취업자 증가폭은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며 올해 취업자 증가폭은 10만명, 15~64세 고용률은 68.7%로 내다봤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달 9일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취업자수는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국내 대면서비스업의 호조세를 반영해 8만명에서 10만명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3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취업자 증수 증가규모를 13만명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지난해 리오프닝에 따른 효과가 축소되고 경기둔화의 영향이 나타나면서 소폭 증가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올해 취업자 증가 규모는 10만명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80만명대로 늘었던 기저영향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경기둔화,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의 하방요인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고용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생산연령인구 감소 등 취업자 증가폭 둔화요인이 지속되고 있으나 일상회복 등에 따른 대면서비스 정상화, 외국인 근로자 유입 등으로 당초 전망보다 둔화폭이 축소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며 "고용률 및 실업률은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과 유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