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3.06.27 15:40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페이스북 캡처)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페이스북 캡처)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사회적 책무 가치를 추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기존 열독률 조사를 변경함에 따라 특정 언론이 수혜를 입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7일자 '트루스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언론진흥재단은 ABC협회 부수 공사 제도의 신뢰성 등에 의문을 제기하고 2021년부터 기존 열독률 조사를 변형했다고 한다. 열독률 구간을 나누고, 조사 표본 수 증가, 사회적 책무 지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변형해 정부 광고단가를 책정했다.

그 결과 신문 열독률과 정부 광고 단가 순위가 뒤바뀌는 일이 벌어졌다.

당초 종이신문 열독률 조사에서 조선일보가 3.7355%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중앙일보(2.4519%), 동아일보(1.9510%), 매일경제(0.9760%), 농민신문(0.7248%), 한겨레신문(0.6262%)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열독률 조사 변형 후,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순위가 바뀌어 한겨레가 1위로 올라섰다고 한다. 언론재단이 공개한 광고단가(1면 5단 통) 시뮬레이션 결과, 한겨레가 3330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조선일보(3229만원), 중앙일보(3229만원), 동아일보(3195만원), 농민신문(3160만원), 한국일보(3128만원) 순이었다.

조선일보는 2022년 언론재단이 조사한 열독률에선 1위를 기록했지만 광고지표에서는 15위에 그쳤다고 한다. 언론재단의 광고지표는 총 410여개 신문사의 점수가 순위로 매겨지며, 연간 1조원 규모의 정부 광고 집행 시 핵심지표로 활용된다.

이런 결과가 나온 배경엔 언론재단 전 미디어연구센터장 A씨 주도 하에 기존 열독률 조사에 '사회적 책무 가치 조사' 항목이 추가돼 배점이 6대4로 분산됐기 때문이라는 게 '트루스가디언'의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는 2021년 7월 언론재단의 '전국 5만명 국민 대상 구독자 조사'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A씨는 기존 5000명 표본조사보다 표본이 10배 많아지면 열독률 조사 결과가 더 정확해 질 것으로 주장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당시 열독률 조사는 전체 5만 1788명(표본오차 ±4.43%) 대상으로 진행됐는데, 이중 신문구독 응답자는 전체 13.2%로 표본크기가 6836명에 불과했다. 결국 신문구독 응답자가 아닌 사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늘어난 상태의 조사였다는 얘기다. 이에 일각에선 쓸데없이 표본을 늘려 열독률 조사에 소요된 국민 세금만 더 낭비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특히 조사업체 선정심사위원 5명 중 4명은 A씨와 그의 지인들이었다고 한다.

언론재단 한 관계자는 '트루스가디언'에 "이 같은 열독률 조작 사건은 과거 유신이나 군사정권 때도 없었던 신종 언론탄압 유형"이라며 "특히 통계학적으로 황당한 조작을 통해 신문사 광고 단가 순위가 뒤바뀌도록 한 행위는 문체부 블랙리스트 사건보다 훨씬 위중한 위법행위"라고 질타했다.

이 때문에 A씨는 물론 표완수 언론재단 이사장 등을 포함한 관계기관 조사가 어떤 형태로든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표완수 이사장은 27일~7월 1일 대만에서 열리는 세계신문협회 총회 참석을 이유로 출국하려 했으나 문체부가 28일 국회 현안 질의 참석 등을 이유로 이를 불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