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3.09.12 16:56

"내년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 3000억 조성…30개 지방대 '글로컬 대학' 선정 집중 투자"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역에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지역대학·지역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인구감소지역·관심 지역을 중심으로 핵심 생활 기반시설 개선에 중점 투자하면서 생활인구 확충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지속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지방소멸·지역균형발전 관련 간담회'에서 "수도권 인구집중, 고령화 등에 따라 소멸위험 지역이 전체 시군구의 51.8%에 달하는 등 지방소멸이 가속화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지역산업을 육성해 일자리를 늘리고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정부는 2024년 3000억원 규모의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를 조성해 지역투자의 마중물로 활용하겠다. 대학에 대한 재정권한을 지자체로 부여하고 30개 지방대를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해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인구 유출에 따라 주거·복지·문화시설·인프라 등 지역의 생활여건이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공간적 측면에서 유연한 인구와 생활권 개념을 적용해 지역간 협력을 통해 지역경제도 활성화해야 한다. 정부는 민관협력 지역상생협약 재정지원 등을 통해 정주인구뿐 아니라 생활인구를 늘려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려는 지자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서 발제를 한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교육, 취직 등으로 인한 사회적 이동이 지방소멸의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인구감소지역 내 규제 특례 확대, 농림축산어업 스마트화 등의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토론에 참여한 박용진 오토닉스 대표는 지방특화 산업에 대한 공장 자동화 지원, 지역 도심과의 접근성이 확보된 산업단지 구축 등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