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3.09.13 09:48

8월 고용률 역대 최고·실업률 최저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취업자 수 증가세가 30개월째 이어졌지만, 증가 규모는 두 달째 20만명대에 그쳤다. 다만 5개월 만에 증가폭이 확대돼 향후 회복을 기대하게 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3년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올해 8월 취업자 수는 286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8000명 늘었다. 전달(21만1000명)보다 소폭 확대됐으며, 전월 대비로도 7만7000명 증가해 2개월만에 증가 전환했다.

이는 7월 집중호우 영향이 컸던 건설업·농림어업(임시·일용직) 감소폭이 축소된 가운데, 돌봄수요 확대 등에 따라 보건복지업·숙박음식업 중심의 고용개선 흐름이 지속된 데 주로 기인한다.

먼저 15세 이상 고용률은 63.1%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6%로 30대, 50대 등에서 상승하면서 0.7%포인트 올랐다. 15세 이상 고용률과 15~64세 이상 고용률은 8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반면 15~29세 청년 취업자는 10만3000명 줄면서 10개월 연속 줄었다. 이에 청년층 고용률도 47.0%로 0.3%포인트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7개월 연속 하락 중이나, 8월 기준으로는 역대 2위 수준이다.

연령별로 취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은 30만4000명, 50대는 7만3000명, 30대는 6만4000명이 각각 늘었다. 반면 20대는 9만1000명, 40대는 6만9000명 줄었다. 60세 이상 증가폭이 전체 취업자 수 증가 규모(26만8000명)를 여전히 상회한 가운데 40대 취업자는 14개월 연속 감소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8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12만1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5만7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어났으나 도매 및 소매업(-6만9000명), 제조업(-6만9000명), 농림어업(-1만9000명) 등에서는 줄었다.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은 8개월째 감소 중이다.

8월 실업자는 57만3000명으로 20대, 30대 등에서 감소하면서 1년 전보다 4만1000명 줄었다. 실업자 수는 29개월 연속 감소 중이다. 실업률은 2.0%로 0.1%포인트 하락했다. 8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616만3000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8만3000명 감소했다. 쉬었음(8만3000명) 등에서 늘었으나 육아(-10만5000명), 가사(-5만명) 등에서 줄었다. 구직 단념자는 40만6000명으로 6만1000명 감소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향후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 등에 따른 중국인 방한 관광객 확대 등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률·실업률의 견조한 흐름이 지속 전망되나 경기회복 조짐에도 불구하고 제조업·건설업 고용부진 지속에 대해서는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을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점검하면서 고용 호조세 지속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 등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일자리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일자리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한편 이날 기재부와 고용노동부는 일자리전담반 제9차 회의를 열어 향후 발표 예정인 '역별 빈일자리 해소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그간 정부는 2차에 걸쳐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3월에는 제조업, 보건복지업 등 6개 업종 중심의 대책을 마련했고 7월에는 건설업과 해운업 등에 대한 맟춤형 지원책을 발표했다.

연이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 유출과 고령화, 노후화된 산업기반 등으로 인해 인력난이 장기화·고착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이날 '지역별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관계부처 협의를 진행했다. 이번 방안은 지자체별 여건·수요에 따라 빈일자리 수가 큰 업종과 구인난 현장 체감도가 높은 업종을 선정·타겟팅해 맞춤형 대응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자체 협의를 거친 후 10월 중 관련 대책을 발표키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