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3.10.21 08:00

증권가 "인상 확률 낮아…인하는 내년 하반기"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올해 1월 3.25%에서 3.50%로 인상된 10월까지 지속 동결되고 있다. (출처=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올해 1월 3.25%에서 3.50%로 인상된 10월까지 지속 동결되고 있다. (출처=한국은행 홈페이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논의하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오는 11월 30일, 올해 딱 한 차례 남았다. 

한은 기준금리는 올해 1월 3.25%에서 3.50%로 인상된 뒤 지속 동결 중이다. 2월과 4월, 5월, 7월, 8월에 이어 이번 달 회의에서도 동결됐다. 9개월째 3.50%가 유지됐다.  

가계부채 증가세 및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에 따른 중동 정세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장은 올해 마지막 11월 회의에서도 '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 19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번 동결은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결정됐으나 향후 방향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발생했다.

앞선 회의에서는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모두 '3.75%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에 공감했으나, 이번에는 1명의 위원이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을 고려해 금리를 아래 또는 위로 모두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나머지 5명의 위원은 기존과 같은 '3.75%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 가운데 1명은 가계부채에 대한 선제 대응 필요성을 주장했다.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의견 수는 줄었지만 강도는 높아진 셈이다.

시장도 이번 금통위 결과에 대해 '금리 동결 속 추가 인상 가능성 타진 기조가 연장됐다'고 판단하면서도 이전보다는 매파의 강도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했다. 물론 시장은 아직까지는 연내 금리 동결을 지지하는 모습이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현 시점에서는 동결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이 총재가 중립금리 등을 고려할 때 국내 기준금리가 긴축적인 수준에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추가 인상 필요성은 제한적이다. 최근 물가 상방 리스크가 확대되고 가계부채 리스크도 점증되고 있지만 아직은 추가적인 통화정책 대응이 필요한 시점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도 "현재의 긴축적인 수준의 정책이 좀더 장기화될 가능성은 높아졌으나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아직까지는 낮다"며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의 최종 금리 전망을 3.5%로 유지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9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한국은행 유튜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9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한국은행 유튜브)

변수는 결국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다. 이번 금통위에서도 중동 불안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 총재도 경기에 대해 "좋아진 것 같다고 얘기하려고 했었는데, 지금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때문에 쉽게 말씀을 못 드리겠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번 사태의 파급 영향은 현재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물가 상방 리스크가 높아진 점은 자명하다. 이 총재도 "8월 전망에 의하면 내년도 말까지는 물가 상승률이 2% 초반 정도로 수렴할 것으로 봤으나, 중동 사태로 인해 물가 하락 속도가 늦어질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한은은 내달 새로운 경제전망을 내놓을 예정인데 물가 전망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읽힌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금리 인하의 전제조건은 미국경제의 성장 우위 현상 약화 및 한은의 우선순위가 '경제성장 안정, 금융 안정, 물가 안정'으로 재배치되는 것"이라며 "전제조건이 형성되지 않는 한 인하를 단행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유가와 전쟁, 높아진 금리 레벨 등 달라진 여건을 반영해 매파적 태도가 강화됐지만, 물가 경로 수정으로 인해 인하도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미국보다 부진한 국내 경기와 PF, 이미 높아진 금리에 대한 부담에 따른 추가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을 산정한다면 내년 중 인하는 시행될 가능성이 높으나, 그 시점은 빨라야 3분기경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