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3.12.03 17:58
윤석열 대통령은 28일 제50회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28일 제50회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이르면 4일 개각을 단행할 예정이다.

19개 부처 중 장관이 내년 총선 출마 희망·대상자에 오른 부처를 포함해 7~10곳 정도의 수장이 갈리는 중폭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정책실장을 신설하고 수석을 전원 교체하는 대통령실  조직 개편에 이어 곧바로 개각 단행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총선을 앞두고 최대한 빨리 대통령실과 내각을 안정시켜 국정 동력을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국무회의 비공개 자리에서 "다음 주부터 떠나는 분들이 있을 것"이라며 "너무 일을 잘 해서 당에서 부르는 것이니 너무 섭섭해하지 말았으면 한다"고 개각을 시사했다.

이번 개각에는 기획재정·국토교통·국가보훈·중소벤처기업·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산업통상자원부 등 장관의 총선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부처가 우선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 출마 결심을 굳힌 정치인 출신 장관은 원희룡 국토·박민식 보훈·이영 중기부 장관과 추경호 부총리겸 기재부 장관 등이다.

정치인 장관들이 나간 자리는 차관 등 해당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관료, 학계 등 전문가 그룹으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 후임으로는 박상우 전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과 심교언 국토교통연구원장 등이 거론된다. 박 전 사장은 국토부 기획조정실장까지 지낸 관료 출신이고, 심 원장은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출신인 학계 인사다.

3선에 도전하는 박민식 보훈부 장관 후임으로는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김정수 전 육군사관학교장(예비역 육군 중장) 등이 검증 대상에 올라 있다.

비례대표 출신의 초선인 이영 중기부 장관도 최근 총선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으며, 후임 후보군으로는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전 새누리당 의원)과 김연희 보스턴컨설팅그룹코리아 대표가 언급되고 있다.

기재부의 경우 내년도 예산안이 아직 통과되지 않은 만큼, 장관 인사는 예산 국회 경과를 지켜보면서 이달 중하순 경에 따로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추경호 부총리 후임엔 최상목 전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사실상 확정됐다.

관료 출신 장관들의 총선 출마도 점쳐지고 있어, 개각 폭은 더 커질 수 있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당초 불출마에 가까운 입장을 견지했으나 당의 요청에 따라 출마 가능성을 타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 장관 후임자로는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연고지인 부산 출마를 저울질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 장관으로는 해수부 정책자문위원장인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송상근 전 해수부 차관 등이 거론된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9월 장관직에 취임했지만, 여당의 지속적 요청으로 경기도 수원 출마가 논의되고 있다. 이 밖에 외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도 개각 대상 부처로 거론된다. 

외교부도 장관 교체 가능성이 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정치인이지만 총선 출마 여부보다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에 따른 경질성 교체 대상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이번 개각에서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같이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은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의 탄핵안 표결 직전 사퇴했다.

방송통신위원회법상 자격요건을 고려할 때, 후임 위원장 후보로는 이상인 현 방통위원과 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이 언급된다.

이 방통위원은 윤 대통령이 지난 5월 대통령 몫 위원으로 지명했고, 이 전 사장은 국민의힘이 여당 몫 위원으로 추천한 인사다. 이동관 전 위원장 인선 당시 함께 후보군에 포함됐던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도 다시 거론되고 있다.

한편,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이번 개각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장관이 총선에 출마할 경우 공직자 사퇴 시한인 내년 1월11일까지 물러나야 한다. 이 시점에 맞춰 연말연초쯤 '원포인트'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후임으로는 박성재 전 서울고검장, 길태기 전 서울고검장 등이 검증 대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김홍일 권익위원장, 이노공 현 법무부 차관도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