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3.12.20 14:33

"통화긴축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 완만 예상"

한국은행 본관 전경. (사진=뉴스웍스DB)
한국은행 본관 전경.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최근 3%대를 이어가고 있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향후 둔화흐름을 이어가 내년 말이나 내후년 초에는 물가안정목표인 2%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브리핑을 통해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향후 전망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비용압력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는 1~11월 중 전년동기 대비 3.6% 상승하면서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5.1%)에 비해서는 크게 둔화했다.

월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큰 폭 상승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연초 5.0%에서 7월 중 2.4%까지 빠르게 둔화한 후 8월부터 유가·환율·농산물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반등해 10월에는 3.8%까지 높아졌다. 이후 유가·농산물가격이 하락하면서 11월 중 3.3%로 다시 상당폭 낮아졌다.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지난해 말 이후의 완만한 둔화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월별로 보면 5월까지 3.8%에서 4.0% 범위에서 경직적인 흐름을 보이다가 6월 중 3.3%로 상당폭 낮아졌으며 이후에도 완만하게 둔화해 11월 중 2.9%를 기록했다.

향후 물가 여건을 살펴보면 우선 국제유가는 글로벌 수요둔화 우려, 비OPEC 산유국 증산 등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OPEC+ 감산 지속, 중동지역 지정학적 불안 등은 상방리스크로 잠재해 있다.

국제식량가격은 곡물가격이 지난해 2분기 고점 대비 크게 하락했으나 설탕, 코코아 등 일부 품목의 가격 불안정, 기상이변 가능성 등이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해 있다.

다만 민간소비 등 내수 측면에서의 물가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호한 고용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가계의 실질구매력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할 때 민간소비는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통화긴축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회복세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정책 측면에서는 전기·도시가스요금의 점진적 인상, 유류세 인하폭 축소 등이 내년 중 물가 둔화 흐름을 다소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간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폭 제한, 유류세 인하조치 등이 팬데믹 이후의 비용상승 충격을 상당부분 완충한 측면이 있으나 앞으로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점진적으로 인상되거나 유류세 인하조치가 환원될 경우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이 다소 완만해질 가능성이 있다.

대중교통요금의 경우 올해 상당수 지자체에서 이미 인상된 바 있다. 내년에는 추가 인상을 예고한 수도권·부산 도시철도 등 일부 지역과 아직 인상하지 않은 일부 지역에서 인상 가능성이 있다.

한은은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유가가 다시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면 수요측 압력이 약화된 가운데 공급충격 영향도 점차 줄어들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나 그 속도는 완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단기적으로 크게 올랐던 유가·농산물가격이 하락하면서 11월 중 상당폭 둔화됐으나 앞으로도 이처럼 빠른 하락이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12월 중에는 전월과 비슷하거나 소폭 낮아진 후 추세적으로 둔화하면서 내년 연말로 갈수록 2% 부근으로 근접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은은 향후 물가 전망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누적된 비용압력의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외 수요부진 심화, 유가 하락 등의 하방리스크와 중동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 고조에 따른 유가 재급등, 비용압력의 파급영향 강화, 기상이변 등의 상방리스크가 혼재돼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