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4.01.10 09:30

청년 취업자 줄고 제조업도 감소 전환…"민간 중심 '일자리 창출' 정책역량 집중"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달까지 취업자 수가 34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작년 연간 취업자 수 증가규모가 약 32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81만6000만명)보다 다소 줄었지만 고용률이 역대 최고를, 실업률은 최저를 각각 기록하면서 작년 한해 고용 시장은 양호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5세 이상 취업자는 2841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7000명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27만8000명)에도 불구하고 보건복지업 및 숙박음식업 등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했다. 

작년 고용률은 62.6%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2%로 30대, 60세 이상에서 오르면서 0.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반면 15~29세 청년 취업자는 9만8000명 감소한 가운데 청년층 고용률도 46.5%로 0.1%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청년 실업률은 5.9%로 역대 최저를, 핵심 취업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72.3%로 역대 최고를 각각 기록했다. 

연령별로 취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60세 이상 36만6000명, 50대 5만9000명, 30대 5만4000명 각각 늘었다. 반면 20대는 8만2000명, 40대는 5만4000명 줄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3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11만4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7만명) 등에서는 증가했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4만3000명)가 1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다만 제조업 취업자는 수출·생산 회복세에 힘입어 11월 이후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도매 및 소매업(-3만7000명), 부동산업(-1만8000명) 등에서도 취업자가 줄었다.

부천시가 경기도일자리재단과 함께 연 '경기도·부천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구인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가 경기도일자리재단과 함께 연 '경기도·부천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구인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부천시)

지난해 실업자는 78만7000명으로 20대, 40대 등에서 줄면서 1년 전보다 4만6000명 감소했다. 실업률도 2.7%로 0.2%포인트 내렸다. 실업률은 역대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는 1620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13만4000명 감소했다. '쉬었음'(7만4000명)에서 늘었으나 '육아'(-14만명) 등에서 줄었다. 구직단념자는 36만2000명으로 8만1000명 감소했다.

한편 올해 고용률(15세 이상)은 62.8%로 전년보다 0.2%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업률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장기추세로 복귀하면서 2023년 대비 둔화된 23만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기획재정부는 "돌봄수요 지속 증가, 여성·고령층 중심 노동공급 확대 등에 힘입어 보건복지·공공행정 서비스업 고용 증가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관광 수요 회복 흐름 등은 긍정적이나, 기저효과 등에 따른 숙박음식업 등의 고용 둔화 가능성, 건설경기 부진전망 등은 제약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 여건 및 리스크 요인을 상시 예의주시하면서 민간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정부는 건전재정 기조를 견지하면서 미래 성장과 지속가능한 민간 일자리 창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제조업 수출 중심 경기개선에 따른 고용회복 시차, 어려운 지방재정 여건 등 올해 상반기 지역에서 체감하는 고용상황이 어려울 수 있음을 고려해 자치단체 참여 중앙정부 일자리사업(16개사업, 국비 5324억원)을 상반기에 전년 대비 10%포인트 이상 신속 집행하도록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향후 관계부처 및 자치단체와 협업해 이행상황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