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4.02.27 16:00

정부 '제11차 원자력진흥위원회'서 계획 확정

(자료제공=과기정통부)
(자료제공=과기정통부)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정부는 27일 제11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개최하고 민·관 협력을 구축해 차세대 원자로를 개발하고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운영때까지 1.7조 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는 차세대 원자로 분야에서 민-관 협력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전략을 확정했다. 

먼저 고온가스로, 용융염원자로, 소듐냉각고속로 등 노형별 민·관 합작 프로젝트를 통해 핵심 기술개발 및 실증·상용화 기반 마련까지 신속하게 추진해나간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해서는 사업 지연 없이 적기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협력, 민·관의 기술력과 공급망을 총 결집할 계획이다. 

또 차세대 원자로 개발단계에 따라 공동개발, 기술이전, 사업화 지원 등 민간과 협력 방식을 다양화한다. 이어 기술개발 초기부터 수요·공급 기업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운영하고, 민간의 기술적·재무적 위험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마중물로 정부가 기술과 연구개발(R&D) 재원을 공급하여 민간투자를 활성화한다. 

향후 차세대 원자로 상용화를 위해서는 장기·고비용이 소요되는 인·허가가 관건으로 관계기관의 규제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선제적으로 국내 규제체계를 개발하기로 했다. 차세대 원자력에 대한 핵심인력 필요성에 따라 올해부터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설립하여 원자력 융·복합 전공과목을 개설하고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마지막으로 국내 우수한 대형 연구시설 및 시험부지를 활용하여 국내·외 연구소 및 기업 간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SMART나 고온가스로 등 국내 독자 노형의 시장 진출을 추진하여 수출 성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개발(R&D) 로드맵'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단계별 기술개발 계획이다. 

정부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각 분야별 기술이 선도국 대비 약 60~80%의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는 연구개발(R&D) 1조1414억원, 인프라 5138억원 등 처분시설 운영 시까지의 약 1.7조 원의 투자소요를 도출했다. 여기에는 방폐물관리기금 및 원자력연구개발기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운반·저장 분야 기술은 중간저장시설 인허가 심사가 착수되는 2030년대 후반까지 기술을 확보하며, 부지 분야 기술은 향후 관리시설 부지선정 단계별 적용 기술을 순차적으로 확보하는 것으로 계획했다. 처분 분야 기술은 국내 방폐물 및 암반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처분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2050년대까지 기술을 확보하며, 특히 처분시설과 유사한 심도에서의 실험을 위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부피·독성저감 분야 기술은 2026년까지 실증시설 기본설계 및 고속로 안전성 향상 관련 핵심 세부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정부는 원전산업 경쟁력 강화방안도 마련했다.

앞으로 늘어날 원전산업 인력수요에 대응하여 2030년까지 4500명의 원전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또 탈원전 기간 해체·방폐물 등 후행주기 중심으로 추진된 원전 연구개발(R&D)도 미래(SMR)·시장(수출)·융합(연계)를 중심으로 혁신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