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18.12.20 16:37

한병화 "지난해 최초로 재생에너지의 신규 발전설비 비중 60% 돌파"
"태양광, 해외진출과 자율적 구조조정… 전기차 의무 판매제 도입 필요"

20일 국회에서 개최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육성 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초청강연회'에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가 우원식 의원을 '기후·에너지 특위 위원장'으로 임명하는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사진= 원성훈 기자)
20일 국회에서 개최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육성 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초청강연회'에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가 우원식 의원을 '기후·에너지 특위 위원장'으로 임명하는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에너지전환이 늦으면 제조업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국회에서 개최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육성 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초청강연회'에서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애플 사는 이제 전 세계에 있는 시설들이 100% 청정 에너지에 의해 가동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육성 특별위원회(약칭, 기후·에너지 특위)' 출범식을 겸해서 치러졌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참석해 특위 위원장으로 선출된 우원식 의원을 비롯한 특위 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특위 위원장에는 우원식 의원이, 부위원장에는 신창현 의원이 임명됐다. 그밖의 위원으로는 이원욱·전현희·홍의락·김병관·김병욱·김성환·김정호·김현권·서삼석·위성곤 의원이 위촉됐다.

축사에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올해 10월 송도에서 열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48차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195개 회원국 만장일치로 승인한 바 있다"며 "해당 보고서는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1.0도의 지구 온난화가 유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된다면 2030년에서 2052년 사이에 1.5도 상승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히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한 가지 희망적인 것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파리협약 목표인 2.0도 보다 0.5도 낮은 1.5도에 머물게 하면 해수면 상승이 10cm 낮아져 1천만 명이 기후변화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라며 "이를 위해 각국 정부와 법지구적 차원의 노력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도 인류 공통 과제인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에너지 전환 정책을 실시해 힘을 보태고 있다"면서 "IPCC도 상기 보고서에서 2050년까지 1차 에너지 공급의 50~65%, 전력생산의 70~85%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우리의 에너지 전환정책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대적 소명이자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일자리를 늘리고, 신성장동력을 강화하는 혁신 그 자체"라고 평가했다.

특위 위원장으로 임명된 우원식 의원도 인사말을 통해 이해찬 대표와 궤를 같이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기후변화를 대응하는 그 첫 번째 과제가 에너지시스템을 바꾸는 일"이라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안전신화가 붕괴된 원자력발전과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내뿜는 석탄화력발전에 의존하던 우리 에너지시스템을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와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에너지전환이 기후변화대응과 안전하고 깨끗한이라는 당위의 차원의 문제에 머무르면 안 되는 상황"이라며 "우리 경제가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가야할 길이 됐다"고 단언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강연자로 나선 한병화 연구위원은 '글로벌 재생에너지 투자금액이 화석연료와 원전을 합한 것보다 커졌다"며 "지난해 처음으로 재생에너지의 신규 발전설비 비중이 60%를 돌파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발전단가 하락으로 그리드 패러티가 달성돼 에너지 전환 속도가 올라가고 있다"며 "투자액 기준으로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와 원전을 압도했다"고 덧붙였다. '그리드 패러티'란 태양광·풍력 등 대체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드는 발전원가가 원유 등 화석연료 발전원가와 같아지는 시점을 뜻하는 용어다.

한 연구위원은 '에너지전환과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도 짚었다. 그는 "과거 정부의 에너지 전환 실패로 전세계 평균에 훨씬 못미치는 일자리 수만 증가했다"면서 "전세계 발전 설비용량 중 대한민국의 비중이 2% 수준이고 글로벌 재생에너지 종사자수가 약 1천만명이므로 대한민국도 20만명은 돼야 하는데, 실제로는 1만 4천개의 일자리 수를 기록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재생에너지의 '각 분야별 과제'도 분석했다. 태양광에 대해서는 "정부가 정책금을 집중 투자하고 업계는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풍력은 "구조조정이 이미 일어난 풍력산업은 국내 수요만 늘면 생존이 가능하다"면서 "국내 수요 1GW만 지속돼도 현재 3개의 터빈업체가 생존이 가능하지만, 향후 설치량은 200~300MW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국내 기업을 일정비율 참여시키고, 로컬 컨텐츠를 설정해 핵심부품의 국내 생산을 유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그는 전기차와 배터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ESS(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차는 정책지원의 중장기 가시성이 필요하다"며 "전기차와 자율주행자 스타트업 허브 육성으로 관련 산업을 유치하고 전기차 의무 판매제도 도입도 필요하다"고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