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영길 기자
  • 입력 2019.01.30 18:52
이용섭(가운데) 광주광역시장이 30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최상준 광주경영자총연합회 회장 등과 손을 맞잡고 입장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광역시)
이용섭(가운데) 광주광역시장이 30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최상준 광주경영자총연합회 회장 등과 손을 맞잡고 입장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광역시)

[뉴스웍스=김영길 기자] 노·사·민·정 대타협을 기본정신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합의됐다. 앞으로 추가적인 협의가 더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난해 12월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 첨예하게 대립했던 ‘5년간 임금 및 단체협약 유예’ 관련 내용에 대해 ‘임단협 유예’와는 관계가 없다는 내용의 추가 조항을 통해 보완이 이뤄지면서 최종 타결에 걸림돌이 없을 것으로 보여서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30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회의를 갖고 현대차 광주합작공장 제1, 2대 주주가 될 광주시와 현대차의 잠정 합의안을 심의한 후 의결했다고 밝혔다.

노사민정협의회는 이날 회의에서 그동안 노동계와 현대차가 첨예하게 대립해 왔던 '임단협 5년 유예기간'을 보완한 잠정 합의안을 통과시켰다. 잠정 합의안은 지난해와 같이 신설 법인 상생협의회 결정사항의 유효기간을 조기 경영안정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누적 생산목표대수 35만대 달성시까지 유지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잠정 합의안이 통과함에 따라 광주시는 이날 현대차와 최종 합의한 뒤 오는 31일 오후 2시 광주시청에서 현대차 광주합작공장 설립을 위한 공식 협약식을 열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5일 두 번째 협상이 무산된 지 56일만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미국 제네럴모터스(GM)의 새턴프로젝트와 독일 폭스바겐의 ‘아우토 5000’를 본뜬 실험모델이다. 노동자들의 임금을 일부 줄이는 대신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이들의 실험은 결과적으로 성공했다.

하지만 현대차가 투자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성공을 거둘지는 불투명하다. GM이나 폭스바겐과는 달리 노사 간 사회적 타협에 의해 이뤄진 것이 아닌 정치적인 목적이 우선하고 있어 정치권이 입김이 강하게 들어갈 경우 수익성에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비전과 사업성이 모호하다는 점도 문제다. 광주형 일자리로 신설되는 공장은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연간 10만대 생산하기로 했다. 문제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현재 상황이다. 경차가 잘 팔리는 유럽이나 일본과 달리 국내 시장에서 경차는 외면받고 있어서다. 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입차 경형 모델이 한국 시장에서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다”며 “경형 SUV 성공에 대해서는 솔직히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노조의 반발도 걸림돌이다. 현대·기아차 노조는 이미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강성 노조인 현대·기아차 노조를 어떻게 설득하는지가 앞으로 사업을 결정지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