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02.11 14:50
(사진=뉴스웍스DB)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최근 경제성장률 등 전통적인 거시변수를 기반으로 하는 지표경기와 가계와 기업 등 경제주체가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 간에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대체감지수의 지속적인 하락에는 세대 간 실업률 격차, 대·중소기업 간 가동률 격차 등의 확대가 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11일 발간한 ‘조사통계월보: 경제 내 상대적 격차에 따른 체감경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대표적인 경기지표로 이용되는 GDP증가율의 경우 경제 전체의 평균적 소득수준의 변화는 잘 나타내고 있으나 각 경제주체의 개별적인 상황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경제주체들이 실제 체감하는 경기는 소득수준뿐 아니라 업종 간 업황의 차이, 소득격차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 받으므로 일반적인 경기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BSI, CSI 등 경제주체의 주관적 정보를 담고 있는 설문조사 기반 심리지수를 활용해 상대적 격차를 나타내는 객관적인 거시변수가 경제주체의 주관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상대체감지수는 금융위기 기간까지는 대체로 GDP증가율 등 거시경기 변수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2014년 이후 양자 간의 괴리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DP증가율 등 거시경기지표는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반면 상대체감지수는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러한 상대체감지수의 지속적 하락에는 세대 간 실업률 격차, 대·중소기업 간 가동률 격차 등의 확대가 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상대체감지수의 하락이 단순히 경기적 요인만이 아니라 경제 내에 누적된 다양한 구조적 요인들에 기인하고 있는 것을 뜻한다.

김형석 한은 조사국 차장은 “체감경기의 회복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경기대응 노력도 필요하지만 경제주체 간의 상대격차 축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며 “청년층의 고용 여건 개선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균형 발전, 미래지향적인 산업구조조정에 의한 업종 간 생산격차 완화 등을 통해 노동시장 참가자 간, 산업 및 기업 간 격차의 축소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