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05.29 09:30

경제성과·정부효율성·인프라 분야 순위 떨어져
낮은 순위를 기록했던 기업효율성 분야는 개선

(자료=기획재정부)
(자료=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2019년 IMD(국제경영개발대학원, 스위스)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우리나라 종합순위는 평가대상 63개국 가운데 28위로 전년보다 1단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우리나라 순위는 28위로 아시아·태평양 국가(14개)에서는 9위, 인구 2000만명 이상 국가(28개)에서는 11위를 각각 기록했다.

먼저 우리나라 경제성과 평과결과를 살펴보면 GDP규모, 교역조건 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수출·투자·취업자 등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20위에서 27위로 7단계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GDP 규모(12위), GDP대비 투자규모(4위), 상품 수출 규모(6위), 교역조건(6위), 장기실업률(3위) 등 순위는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지난해 GDP·수출·투자·취업자 증가율이 전년 대비 둔화되면서 국내경제(9→16위), 무역(35→45위), 고용(6→10위)에서 순위가 하락했다.

또 정부 효율성 평가 결과는 재정수지·창업절차 등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나 노동시장 개방성 등이 하락해 29위에서 31위로 2계단 떨어졌다.

재정분야는 GDP대비 재정수지 비중(16→3위) 및 일반정부부채 실질증가율(45→40위)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GDP 대비 정부부채 규모 증가(23→27위)로 소폭 하락했다.

제도·사회 여건은 창업절차의 간소성에서 높은 순위를 유지했으나 노동 개방성이 떨어지면서 소폭 하락했다. 제도적 여건은 29위에서 33위로, 사회적 여건은 38위에서 39위로 각각 떨어졌다.

한편,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했던 기업효율성 분야는 근로 동기부여, 기업가 정신, 새로운 도전에 대한 대응 능력 등이 개선되면서 34위로 9단계 상승했다.

근로에 대한 동기부여 개선(61→41위) 등으로 노동시장 분야가 2014년 이후 최고치인 36위를 기록했다. 혁신성장 추진에 따라 기업가 정신(55 →45위) 등도 개선됐다.

과학분야는 지재권 보호강화·연구인력 확대 등의 영향으로 2009년 이후 최고 순위인 3위를 기록했다. 다만 교육 분야는 외국어 능력 및 대학교육 적합성 등에서 하락해 25위에서 30위로 떨어졌다. 기술 인프라 분야도 3G&4G 가입자 비율 등이 하락하면서 14위에서 22위로 떨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부는 이번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며 “민관합동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를 통해 경제활력 제고, 경제체질 개선, 포용성 강화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