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윤현성 기자
  • 입력 2020.10.27 16:04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비정규직 철폐를 놓고 시위하고 있다. <사진=뉴스웍스DB>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비정규직 철폐를 놓고 시위하고 있다.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윤현성 기자] 지난 8월 비정규직 근로자가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직접일자리 사업의 영향으로 기간제·시간제 근로자는 늘었다.

고용노동부는 '2020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동향 및 평가'를 27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고용부에 따르면 8월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년동월 대비 5만5000명 줄었고, 정규직에 비해 감소율이 커 임금근로자 중 비중은 0.1%포인트 하락(36.3%)했다. 

기간제와 비기간제를 합한 '한시적' 근로자는 17만7000명 줄었고, '시간제' 근로자는 9만7000명 늘었다. '비전형' 근로자 또한 2만8000명 늘었다. 특히 한시적 근로자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가 13만3000명 증가하는 등 대부분을 차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성별 구성은 남성 44.9%, 여성 55.1%로 지난해와 동일했고,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25.9%에서 28.7%로 늘었다. 그외 연령대는 모두 비정규직 비율이 소폭 감소했다.

또 지난 6~8월 동안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71만1000원으로 전년동기(172만9000원) 대비 1.0% 줄었다. 고용부는 임금 감소의 원인으로 시간제 근로자 증가의 영향을 꼽았다.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할 경우의 임금은 234만1000원으로 전년동기(231만4000원)보다 1.2% 증가했다.

이번 근로형태별 결과 동향에 대해 고용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 충격의 여파로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고용상황이 악화됐고, 특히 비정규직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특히 비정규직 근로자는 줄고 기간제·시간제 근로자가 다소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추경 직접일자리 등 재정일자리 사업 확대의 영향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비정규직 급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던 경제활동인구조사 병행조사의 영향이 안정화되면서 올해엔 비정규직 급증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정부는 추후 취약계층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정책과 함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비정규직 근로 여건 개선 및 정규직 고용 관행 정착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6월 기준 비정규직 19만7000명(기간제 7.3만명, 파견·용역 12.3만명)의 정규직 전환이 결정됐으며 이 가운데 18만5000명이 전환 완료됐다. 정부는 추후 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등에서 5784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민간위탁 사무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고용부는 현재 고용 피해계층 대상 4차 추경사업이 신속하게 집행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추경 재정일자리, 장기적으로는 한국판 뉴딜 등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기간제·파견·하도급 근로자 등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직접고용의 경우 정규직 전환지원금, 세액공제 등의 재정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고용부는 "올해 말까지 상시·지속 업무 정규직 고용원칙, 불합리한 차별 금지 등을 담아 '기간제근로자 고용안정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내년부터는 가이드라인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전문가의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