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유한새 기자
  • 입력 2022.12.06 16:22

이복현 "유동성 지원받는 증권사는 책임지는 모습 보여야"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제공=상가정보연구소)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제공=상가정보연구소)

[뉴스웍스=유한새 기자] 최근 중소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희망퇴직 칼바람이 불고 있다. 증권가는 이직이 잦은 업종이지만 업황이 안 좋은 상황에서 단행한 희망퇴직에 직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증권사 입장에서도 금융당국의 지원을 받은 이상, 자구적 노력 가운데 하나로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의 유동성 지원을 받은 증권사들의 희망퇴직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정부는 레고랜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미지급 사태로 경색된 자금시장에 '50조+α'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키로 결정했다. 

금융투자협회에서는 지난달 24일 대형 증권사들이 참여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레고랜드 사태 등 단기 자금 경색에 따른 중소형 증권사 유동성 지원을 위해서다. 총 규모는 1조8000억원으로, 내년 5월 30일까지 운영된다. 

이 과정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유동성 지원을 받는 증권사 스스로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자구계획 이행여부 등을 철저히 관리해서 도덕적 해이가 없도록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금감원의 자구계획 요구에 따라 중소형 증권사들이 눈치를 살피면서 희망퇴직을 단행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다올투자증권은 지난달 정규직 전원을 대상으로, 하이투자증권은 오는 8일까지 고연령층·고위급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앞서 케이프투자증권은 지난달 1일 법인 영업부와 리서치사업부를 폐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외에도 이베스트투자증권과 교보증권 등 희망퇴직이 확정되지 않은 증권사들도 구설에 오르고 있다.

통상 증권가는 이직이 잦은 업종으로 분류된다. 증권업계에 계약직 비율이 높은 이유도 외부에서 스카우트한 인재들로 채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근속연수도 다른 업종에 비해 낮은 편이다.

대형 증권사로 꼽히는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 삼성증권의 지난해 임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각각 13.85년, 12.99년, 11.40년이다. 평균 근속연수가 15년이 넘는 은행권에 비하면 한참 짧은 수준이다.

실제로 업황이 좋을 때는 저연차 직원들을 중심으로 희망퇴직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근속연수가 20년 이상 된 직원들이나 저연차 직원들 중 일부는 업황이 좋을 때 다른 곳으로 이직할 기회가 남아있기에 '희망퇴직 보너스'를 받고 싶어 회사에 희망퇴직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 희망퇴직은 업황이 불안한 시기에 단행되면서 직원들의 불안도 커지는 모습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업황이 안 좋을 때는 다른 회사로 옮기는 것도 쉽지 않은데, 이런 상황에서 희망퇴직을 하자는 것은 분위기 상 직원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는 듯한 모습"이라며 "대상자를 정하지 않았더라도 괜히 압박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다올투자증권의 상무급 이상 관리직은 전원 사직서를 제출한 상태다. 다올투자증권 관계자는 "급격한 금리 상승과 부동산 시장 악재로 인해 시장이 많이 안 좋았다"며 "특히 우리의 주력 사업 중 하나가 기업금융(IB)인데 시장 환경이 중장기적으로 볼 때 붙투명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사 입장에서 보면 인원 감축은 비용 효율적인 측면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번 희망퇴직은 금감원에서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 부분이 있어 과거와 양상이 조금 다른 것 같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