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3.06.01 17:08

케이 1029억·카카오 2622억·토스 1120억 달성
'연체율 1위' 토스뱅크, 중저신용대출 비중 42.1%

케이·카카오·토스뱅크 등 3개 인터넷전문은행의 2022년도 1분기 이자이익과 2023년도 1분기 이자이익. (자료제공=각 사)
케이·카카오·토스뱅크 등 3개 인터넷전문은행의 2022년도 1분기 이자이익과 2023년도 1분기 이자이익. (자료제공=각 사)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금리 상승에 따라 인터넷은행 3사의 이자이익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들어오면서 부실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연말까지 달성하기로 제시한 중저신용대출 목표 비중도 숙제로 남았다.

1일 케이·카카오·토스뱅크 등 3개 인터넷전문은행의 '2023년 1분기 은행 현황' 공시에 따르면 올 1분기 4771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둬들였다. 

은행별로는 카카오뱅크가 262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이자이익은 1년전(2007억원) 대비 30.6% 급증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분기보다 24.9% 증가한 1029억원을, 토스뱅크는 1120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둬들였다. 토스뱅크는 작년 1분기 29억원 순이자손실에서 이익으로 돌아섰다. 

늘어난 이자이익은 당기순이익 개선으로 이어졌다. 

카카오뱅크는 대출자산 증가에 힘입어 올 1분기 10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2.5% 늘어난 수준으로 역대 최대 분기 순이익이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1분기(654억원 손실)에 이어 올해 1분기 28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들어오면서 마냥 웃을 수는 없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토스뱅크의 올 1분기 연체율은 1.32%로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량 확대됐다.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같은 기간 0.26%에서 0.58%로 0.38%포인트 뛰었다. 케이뱅크 연체율은 0.82%로 작년 1분기보다 0.38%포인트 높아졌다.

인터넷은행과 더불어 제1금융권인 시중은행의 1분기 연체율이 0.1~0.2% 수준이고, 지방은행 연체율도 0.5%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높다.

1분기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토스뱅크 1.04%, 케이뱅크 0.94%, 카카오뱅크 0.43%를 기록하며 상승 곡선을 그렸다. 토스뱅크의 NPL비율은 지난해 1분기 대비 0.51%포인트, 케이뱅크는 0.30%포인트, 카카오뱅크는 0.18%포인트 올랐다.

인터넷은행들은 높아지는 연체율에 대비해 충당금을 대폭 늘리는 등 부실 대비에 집중하고 있다.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는 지난해 1분기의 3배를 웃도는 772억원, 612억원을 각각 충당금으로 적립했다. 카카오뱅크의 충당금전입액은 5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7% 확대됐다.

문제는 인터넷은행들이 충당금을 당초 계획보다 많이 쌓으며 선제적인 리스크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하반기에 상황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코로나19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가 종료되는 오는 9월 이후 유예 대상자들이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납입을 제 때 하지 못하면 연체율은 더 치솟을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연말 목표로 제시한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맞추기 위한 중저신용대출 확대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터넷은행 3사의 건전성 지표가 악화된 건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이 높은 구조 탓이다. 기준금리가 3.50%까지 인상되면서 상환 능력이 부족한 차주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터넷은행들은 지난 3월 금융당국에 건전성 악화에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완화해달라고 건의해왔지만 당국은 "새로운 대안신용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는 것이 도입취지이자 설립당시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말까지 30%, 케이뱅크는 32%, 토스뱅크는 44%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 1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25.7%, 케이뱅크 23.9%, 토스뱅크 42.06%를 달성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은 건전성 관리 뇌관으로, 코로나19 지원 종료는 도화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금융당국이 합의한 중저신용대출 비중 가이드라인에 따라 발생한 부실채권은 당국 차원의 관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