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유한새 기자
  • 입력 2023.08.13 09:59

총 채권 줄어드는데 연체 채권은 증가…건전성 관리방안 논의 시작해야

(자료제공=최승재 의원실)
(자료제공=최승재 의원실)

[뉴스웍스=유한새 기자]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며 가계부채와 연체율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후불결제 서비스(BNPL)의 연체율이 급격하게 오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의원이 13일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3사의 6월 말 기준 BNPL 연체율은 각각 2.45%, 0.54%, 7.76%로 평균 5.8%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분기인 3월 말 기준 각각 연체율이 2.7%, 0.51%, 5%로 평균 4.4%였던 것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0.25%포인트 상승, 0.03%p 하락, 2.26%p 높아졌다. 평균 1.2%p 상승한 것이다.

선구매후불결제(BNPL) 서비스는 물품을 구매하는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업체가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지급하고, 소비자는 물품을 받은 뒤 여러 차례에 걸쳐 업체에 상환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미리 구매하고 할부로 대금을 상환한다는 점에서 신용카드와 유사하지만 BNPL은 신용 이력이 적어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학생, 주부, 사회초년생 등 씬파일러들도 이용할 수 있어 해외에서는 이미 주요 결제 수단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혁신금융서비스 중 하나로 도입이 됐다. 네이버의 경우 2021년 4월부터, 카카오는 지난해 1월부터, 토스의 경우 지난해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서비스 개시 1년여 만에 누적 가입자 총계가 300만명에 이를 정도로 사용자 숫자가 빠르게 늘어났다.

(자료제공=최승재 의원실)
(자료제공=최승재 의원실)

최승재 의원실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빅테크 3사의 BNPL 서비스 누적 가입자 숫자는 각각 네이버파이낸셜 74만3000명, 카카오페이 4만5000명, 비바리퍼블리카(토스) 223만2000명으로 총 302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분기인 지난 3월 말 71만, 3만, 192만2000명에 비하면 각각 4.7%, 47.5%, 16.1%, 총계로는 13.4%가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나란히 증가한 누적 가입자 숫자와는 달리 연체채권과 연체율에 있어서는 각 사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먼저 네이버 파이낸셜의 경우 1분기 말 기준 약 124억원 수준이던 총채권은 2분기 말 기준 약 122억으로 1.7%가 감소했다. 연체채권은 3억4000만원에서 3억원으로 11.8%나 감소했으며, 연체율 또한 2.7%에서 2.5%로 0.2%p 하락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3사 중 채권 규모는 가장 작지만 1억7000만원에서 2억4000만원으로 3개월간 약 40%가 증가했다. 연체채권도 이와 함께 44%나 증가했지만, 금액 자체는 90만원에서 130만원 수준으로 소액에 불과했다. 연체율 또한 0.5% 수준에 그쳤다.

3사 중 가장 많은 가입자 수와 채권 규모를 가진 토스(비바리퍼블리카)의 경우 가장 높은 연체율과 증가 폭을 보였다. 총채권의 경우 지난 3월 말 기준 320억원 수준에서 6월 말 기준 221억원으로 무려 30.8%나 감소했다. 반면 연체채권은 15억9000만원에서 17억1000만원로 오히려 7.4%나 증가했다. 연체율 또한 5% 수준에서 7.76% 수준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짧은 기간 안에 우려스러울 정도로 폭등한 연체율이다. 각 사별로 연체율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1분기 4.4%이던 평균 연체율이 2분기 5.8% 상승하는 등 1년간 악화일로를 걷는 만큼 국회에서는 BNPL 연체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BNPL의 취지 자체가 청년층과 주부 등 씬파일러, 금융거래이력부족자를 대상으로 한 포용금융이라 하더라도 20대 이하의 은행 연체율이 급증하고, 소액생계비대출과 같은 정책상품에서도 20대 청년층의 이자 미납률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금융당국 또한 예의주시만 하던 태도에서 벗어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최 의원의 지적이다.

최 의원은 "혁신금융, 포용금융이라는 명목으로 빅테크 업체들에게 금융사업의 진출 기회를 주었지만, 혁신금융사업에만 집중하기보다 정보·데이터 수집을 통해 타 권역에서 수익을 보전하는 등 되려 시장을 교란한 측면이 있다"며 "물론 씬파일러와 같은 중저신용자, 거래이력부족자들이 불법사금융으로 빠지지 않도록 여러 방책을 마련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급증하는 연체율을 방치하다가 루비콘강을 건너는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빅테크 업체들의 각종 금융서비스를 재점검하고, 건전성 확보를 위한 논의를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