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은지 기자
  • 입력 2023.11.23 18:10
23일 오후 2시 서울특별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열린 '고독사 방지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패널들이 토의에 앞서 기념찰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23일 오후 2시 서울특별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열린 '고독사 방지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패널들이 토의에 앞서 기념찰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뉴스웍스=정은지 기자] 모두의 축복을 받으며 태어난 한 사람이 단절된 환경 속에서 생을 마감하는 고독사. 고독사는 사회적 질병인 만큼 우리 모두가 고민할 과제다. 

고독사는 연령, 소득, 사회적 관계 등 다양한 문제들과 얽혀 있지만, 고독사 대책은 홀로 생활하는 시민의 사망 여부를 파악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결국 고독사를 막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특별시의회가 주최하고, 이병윤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사)글로벌문화예술연맹, (사)선한사람들전국중앙회, 민간 뉴스통신사 뉴스웍스가 공동 주관한 '외로운 죽음: 고독사 방지를 위한 정책 토론회'가 23일 오후 2시 서울특별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김상교 세한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원 주임교수의 '중·장년과 노년의 고독사 실태와 해결 방안' 주제 발표에 이어 진행된 패널 토의에서는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장미리 명지대학교 복지경영학과 교수 ▲김영옥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기구 지원센터장이 패널 토의자로 참가해 정부와 학계, 현장 전문가의 시각으로 도출한 문제점과 해법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좌장은 최승욱 뉴스웍스 편집인이 맡았다.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가 중장년 및 노년의 고독사 정책 방향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가 중장년 및 노년의 고독사 정책 방향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지난 10년 동안 고독사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증가하는 추세"라며 "2021년 우리나라 고독사 수는 3378명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8.8% 증가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5배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장미리 명지대학교 미래융합대학 복지경영학과 교수는 "추적 조사를 해보면 중장년 남성들이 사회적 연결이나 외부 도움을 원치 않는 경향이 강하다. 만성질환 등 질병을 제대로 돌보지 않고 생활 습관 관리도 취약한 '자기 방임'이 중장년 남성에게서 많이 발견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며 "지역 밀착형 상점을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로 양성하고, 다세대 주택·고시원 밀집지역 등, 고독사 취약지역 발굴 조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미리 명지대학교 복지경영학과 교수가 서울시의 고독사 실태 및 시사점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장미리 명지대학교 복지경영학과 교수가 서울시의 고독사 실태 및 시사점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정부가 지난해 처음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독사 건수는 2017년 2412건에서 2021년 3378건으로 40% 이상 늘었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성 고독사가 여성 고독사에 비해 4배 이상 많았으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은 50~60대(50% 이상)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김영옥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은 ▲연령 ▲성별 ▲발견 장소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 ▲경제활동 현황 분석 결과 '주거취약지역에 거주하는 50대 이상 남성 1인 가구'에서 고독사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대상자를 상시 발굴해 연중 안부 확인이 가능한 복지 서비스를 구축하고, 나아가 지역주민 등 민간 자원을 활용해 대상자가 정기적으로 외부 활동에 참여해 지역사회로 다시 편입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괄적인 방안과 대책만으로는 장기화된 사회적 고립 가구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사회적 고립으로 고독사 위험에 처했지만, 우울증이나 조현병 등 정신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정부 및 단체의 접촉이나 서비스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에 정신건강 관련 자원과 인프라 확대가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기구 지원센터장이 고독사 예방을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기구 지원센터장이 고독사 예방을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기구 지원센터장은 "중장년 사회적 고립 가구를 위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서비스가 마련돼야 한다"며 "식사·청소·청결 등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해야 하는 '자기 돌봄'에 대한 교육 및 단계적 사회 참여를 위한 촉진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고립은 더 이상 특별한 누군가의 일이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모두에게 생길 수 있는 일"이라며 "당사자와 가족, 친구, 이웃이 사회적 고립 가구에 대해 이해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회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