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백진호 기자
  • 입력 2022.09.13 13:00
'원더스코프' 활용 예. (사진=한국과학기술원)
'원더스코프' 활용 예. (사진=한국과학기술원)

[뉴스웍스=백진호 기자] 이우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이기혁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사물 표면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장치 '원더스코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3일 KAIST에 따르면 원더스코프를 스마트폰에 장착해 블루투스로 연결하면 매직 렌즈처럼 전시물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다. 

원더스코프는 전시물 표면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위치를 파악한다. 두 가지 광학적 변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량을 더하고, 움직이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계산한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의 높이와 전시물 표면 특성까지 고려해 최대한 정확하게 위치를 계산하도록 연구를 진행했다. 원더스코프의 폭넓은 활용을 위해 다양한 전시물 표면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 만큼, 이를 위해 두 가지 상호보완적인 특성의 광학변위센서 출력과 가속도 센서 출력을 함께 활용했다. 그 결과 종이·돌·나무·플라스틱·아크릴·유리 등의 재질과 요철이나 물리적 패턴이 있는 표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원더스코프는 표면에서 4cm 가량 떨어진 범위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전시물 표면 근처에서 3차원 상호작용도 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범용 가상현실(VR) 및 게임 엔진인 유니티를 활용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사례 프로젝트 탬플릿과 원더스코프 활용지원도구를 개발했다. 원더스코프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적용한 스마트 워치, 스마트폰, 태블릿과 연동 가능하다. 

연구팀은 지난 8월 8일부터 11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컴퓨터 그래픽 및 상호작용기술 학회인 ACM 시그래프의 '신기술전시회'에서 원더스코프를 데모 전시했다. 학회에서 연구팀은 '우수전시상'을 수상했는데, 당시 심사위원들은 "원더스코프가 박물관과 같은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들에게 참여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원더스코프는 직경 5㎝, 높이 4.5㎝의 원통형 앱세서리 모듈이다. 크기가 작아 스마트폰에 쉽게 부착할 수 있고, 대부분의 전시물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이우훈 교수는 "원더스코프가 교육을 넘어 상업 전시에서도 응용 가능할 것"이라며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인터랙티브 교구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우훈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원)
이우훈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원)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