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3.01.17 09:30

"중국 탈피 공급망 구축 선제적 대응할 때"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에서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CNN 뉴스 캡처)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에서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CNN 뉴스 캡처)

[뉴스웍스=고지혜 인턴기자] 올해 세계 경제 둔화로 한국경제가 1%대의 저성장이 불가피한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의 리오프닝과 미국의 대중 견제 양상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우리 기업들에 수출국 다변화, 중국 제도 모니터링을 당부했다. 

전경련은 17일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2023년 미국·중국(G2) 대전망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하고, 미·중 등 주요국의 경제와 국제질서에 대한 전망과 함께 한국경제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좌담회에서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0.5%로 전망됐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과학법 등 주요 경제 안보 제도 등 바이든식 중국 견제와 경제 안보 조치에 더욱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박태호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 원장은 "미국이 동맹국들에 동참을 요청할 대중국 투자 스크리닝으로 인해, 반도체 등 이미 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이 추가 투자할 수 없고, AI 등 첨단분야에 새로이 진출하지 못한다"며 "미국 주도의 기술 보호주의에 대응해 호주, 캐나다, 일본, 유럽 등 다른 선진국과 협력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지난해 말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와 리오프닝을 전격 단행한 가운데 중국 정부가 코로나의 급속한 확산을 1분기 내 얼마나 안정시키느냐가 결국 올해 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의견이 주목을 끌었다. 

박기순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올해 위드 코로나 전환 후 1분기 내로 경제회복이 된다면 중국이 원하는 성장률의 마지노선인 5% 성장을 달성할 것"이라며 "올해 정치·경제 안정화를 위한 고용 회복 정책, 플랫폼 산업 규제 완화, 소비를 끌어 올리기 위한 보조금 및 세제혜택 등 경제 어젠다가 계속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전경련은 중국이 제로 코로나 완화 이후 내수 진작과 외국인 투자유치 등 경제 활성화 제도들을 전격 도입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우리 기업들이 관련 제도 변화를 긴밀히 모니터링할 것을 권장했다. 

박태호 원장은 "미·중 힘겨루기 속에서도 높은 성장률을 보일 인도, 동남아시아,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의 수출을 확대하는 전략을 세우고, 중국을 탈피한 공급망 구축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경직된 노동시장과 과도한 기업규제로 한국기업의 경쟁력이 만성적으로 저하된 상황에 G2 성장 둔화와 공급망 패권 경쟁 등 커지는 대외 리스크로 우리 기업들의 위기감이 매우 크다"며 시장 다변화와 공급망 재편 등 국가 차원 종합적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