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지혜 기자
  • 입력 2023.02.14 11:00

전경련 "평가 요소 공개 통해 ESG 평가 대응능력 제고해야"

(자료제공=전경련)

[뉴스웍스=고지혜 기자] 올해까지 이어지는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기업 10곳 중 9곳이 지난해보다 ESG경영 규모를 유지‧확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ESG 실무자를 대상으로 '2023 ESG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0%가 올해 ESG경영 규모를 지난해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전경련은 올해 ESG 사업 규모 확장의 배경을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공감대 확산과 사업구조 전환을 통한 ESG경영 환경의 정착으로 분석했다.

E·S·G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E(환경)가 82.0%로 가장 높았다. S(사회)와 G(지배구조)는 각각 9%였다.

올해 환경 분야 이슈로는 ▲탄소배출량 감축이 47.0%로 가장 높았으며 ▲신재생 에너지 전환 17.1% ▲친환경 기술개발 17.1% ▲대기·수질 오염관리 9.7% ▲순환 경제 활성화 9.1%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 분야 주요 이슈로는 ▲산업재해(안전·보건 관리)가 31.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노사관계(15.3%)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14.4%)를 주요 사회 이슈로 꼽았으며 ▲인권경영(12.0%) ▲인적자원관리(9.1%) ▲제품·서비스 품질관리(6.7%) ▲다양성·포용성(4.8%) ▲지역사회관계(4.3%) 순이었다.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협력사와 공급망 ESG 관리를 시행하거나 시행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에 대해서는 ▲공급망 ESG 전반에 대한 관리(50.0%) ▲탄소배출량 관리 등 환경 실사(27.6%)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 실사 (9.2%) 순이었다.

전경련은 "올해부터 독일에서 공급망 인권 실사가 의무 적용되고 글로벌 주요국이 공급망 ESG 관련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기업들의 공급망 ESG 관리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기업은 ESG경영 수행의 가장 큰 애로사항을 ▲ESG 관련 규제의 다변화·고도화(35.4%)로 꼽았다. 이어▲전문인력 등 ESG 관련 전문성 부족(21.7%) ▲ESG 평가부담 심화(16.8%) ▲과도한 비용 소모(15.5%) ▲낮은 사업 관련성(9.9%) 순이었다. 

또한 평가업체마다 다른 평가결과로 인한 예측 가능성 저하가 ESG 평가 대응의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토로했다. 전경련은 이를 평가기관이 다양해지면서 구체적인 평가요소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평가 요소 공개를 통해 기업의 ESG 평가 대응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