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유한새 기자
  • 입력 2023.03.29 08:50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Fed 홈페이지)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Fed 홈페이지)

[뉴스웍스=유한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을 중단할 것이란 증권가의 분석이 나왔다.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 사이 정책 균형점을 찾기 위한 정책 고민이 결국 국채 금리의 변동성을 높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9일 "실리콘밸리뱅크(SVB) 및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 발 뱅크데믹 리스크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미 연준을 위시한 주요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 사이에서 정책 균형점을 찾기 위한 정책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 고민은 국채 금리의 변동성을 높이고 있다. 연준의 정책을 예단하기 어렵지만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 연구원은 신용위기 진정을 위한 정책 수단이 유동성보다는 금리 정책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연준이 은행 기간 대출 프로그램(BTFP)을 통해 유동성 공급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연준도 밝히고 있듯이 BTFP는 이전 양적 완화 정책과는 차별화되는 유동성 정책"이라며 "물론 미 정부와 연준이 뱅크데믹 해소를 위한 추가 유동성 공급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이전 금융 위기 및 팬데믹 당시처럼 공격적 유동성 정책을 추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어 "무엇보다 인플레이션 통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준 입장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재차 자극할 수 있는 유동성 공급 정책을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따라서 금리 동결 혹은 인하와 같은 금리 인상 사이클 피벗을 통해 신용위기에 대응할 수밖에 없을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 펀더멘탈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는 점도 짚었다. 박 연구원은 "미 연준은 경기 침체를 감내해서라도 물가 안정에 올인하는 광폭의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했다"면서도 "하지만 이번 신용 위기로 물가 안정을 위해 경기 침체를 방관하기 어렵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에서 신용위기 확산의 또 다른 뇌관으로 지적하는 상업용 모기지 대출 부실 및 기업 연쇄 도산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방어해야 되었기 때문"이라며 "은행의 추가 부실을 촉발할 수 있는 이들 리스크는 궁극적으로 금리에 크게 연동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플레이션 리스크만 보고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서기 어려워진 상황인데 추가 금리 인상이 자칫 진정한 의미에서 신용 위험을 촉발할 여지가 높아졌음을 연준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운트 파트 리스크를 해소해야 하는 것도 연준의 금리 인상 중단 이유로 꼽았다. 박 연구원은 "금융 거래 혹은 자금 거래를 하는 데 있어 거래 상대방을 믿지 못하게 되면 조달 금리는 급등하게 되고 이는 상환리스크를 높일 것이 분명하다"며 "즉, 차입자의 자금 조달 금리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상환 혹은 부도 리스크가 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국채시장 변동성 완화 차원에서도 금리 동결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국채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당연히 자금 시장의 혼란은 물론 심리적으로 신용위기 공포감을 키우는 데 한몫했다"며 "따라서 연준 입장에서 금리 동결 등을 통해 국채시장의 변동성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뱅크런 현상을 막기 위해서라도 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의 또다른 폐해는 예금자들의 머니무브(자금이동)를 자극한 것"이라며 "예금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머니마켓펀드(MMF)로 자금을 대규모 이동하면서 뱅크런 현상을 심화시킨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 연구원은 "연준 입장에서 고수익률을 추구하는 머니무브에 따른 뱅크런 현상을 막기위해서라도 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