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지혜 기자
  • 입력 2023.11.25 08:00
광물 이미지.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제공=포스코케미칼)
광물 이미지.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제공=포스코케미칼)

[뉴스웍스=고지혜 기자]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 규제 시행이 5일 앞으로 다가왔다.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의 수출 통제에 따라, 국내 배터리 기업이 어느 정도 타격을 받을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흑연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6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 해관총서가 지난 10월 발표한 '흑연 관련 항목 임시 수출 통제 조치의 개선·조정'이 다음 달 1일부터 시작한다. 해당 규제는 고순도·고강도·고밀도 인조흑연, 천연 인상흑연 등 9개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가 주요 내용이다.

흑연은 배터리 음극재 제조용 물질로 활용되는 핵심 광물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흑연 수입처는 대부분 중국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9월 기준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각각 97.7%, 94.3%다. 사실상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셈이다. 

◆사실상 중국에서 전량 수입하지만…"큰 문제 없을 것" 

중국 흑연 통제 발표 당시, 관련 업계에서는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앞길을 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당시 한국무역협회는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 조치는 미국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해석되는 만큼, 향후 미중 관계가 악화할 경우 미국 생산기지가 있는 국내 배터리 업체로의 수출 허가가 지연·반려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정부도 산업부 등 유관기관과 '흑연 수급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 추가 흑연 물량 확보에 힘을 쏟았다.

그러나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며 낙관하는 모습이다. 중국의 흑연 통제는 '금지'가 아닌 이중용도(군사·민간용으로 사용 가능한 품목) 여부를 심사받아 수출을 허가하도록 변경하는 것이 골자다. 과정이 엄격해졌을 뿐, 수입은 가능하다는 것이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절차를 까다롭게 하겠다는 것으로, 직접적인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경과를 주시하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배터리 업체 관계자는 "중국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라고 해석되지만, (한국으로의) 수출이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도 지난 21일 베이징 포시즌스 호텔에서 '정책 설명회'를 열고, 국내 배터리 업계를 안심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상무부 관계자들은 설명회에서 "수출 통제에 대한 한국의 우려가 큰 것으로 알지만, 중국 법률을 지키기만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신뢰가 인정된 업체라면 일괄 수출 허가를 통한 수출 간소화도 적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확보 '속도'

문제가 없다는 게 대체적인 입장이지만, 한편으로는 '해법 찾기'도 병행하고 있다. 혹시라도 미중 무역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질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다. 

이들 업체는 실리콘 음극재 개발로 흑연 광물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지난해 기준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재 중 73%는 흑연 만을 사용했고, 실리콘을 포함한 음극재 비중은 27%에 불과했다. 

하지만,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계 음극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10배가량 높아 주목받고 있다. 일례로 테슬라는 '4680'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SK온은 내년 1분기부터 대주전자재료로부터 실리콘 음극재를 공급받을 예정이다.

포스코퓨처엠은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실리콘 음극재 개발을 진행 중이다.

현재 실리콘 음극재는 충전할 때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을 막기 위해 흑연에 실리콘을 소량 첨가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포스코퓨처엠은 100% 실리콘으로 이뤄진 퓨어 실리콘 음극재도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