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윤희 기자
  • 입력 2025.11.26 11:30
수원특례시 문화해설사를 위한 화성행궁 소양교육 홍보물. (사진제공=수원시)
수원특례시 문화해설사를 위한 화성행궁 소양교육 홍보물. (사진제공=수원시)

[뉴스웍스=최윤희 기자] 수원특례시가 문화해설사를 대상으로 화성행궁 고증 연구 결과를 교육해 '연구 기반 문화해설'을 정착시킨다.

수원시는 11월 26~27일, 12월 3~4일 4회에 걸쳐 수원문화재단에서 '수원특례시 문화해설사를 위한 화성행궁 소양교육'을 한다. 유네스코독일위원회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지원하는 교육에는 수원문화재단·수원화성박물관·수원청소년청년재단 등에서 수원화성과 화성행궁을 해설하는 문화해설사들이 참여한다. 화성행궁 고증 연구의 성과를 해설 현장에 연결하기 위한 교육이다. 연구를 수행한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선다. 수원시 화성사업소는 문화해설사가 현장에서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설명이 최신 연구 성과에 기반해 이뤄질 수 있도록 문화해설사 소양교육을 기획했다. 참가자들에게 제공하는 '수원 화성행궁 스토리텔링 가이드북'을 교재로 삼는다.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평가위원회 개최

수원특례시는 지난 25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2025년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평가위원회를 개최했다. 

수원시는 주민만족도, 현장평가, 실적 서류 평가를 종합해 총 13개 대행업체의 성과를 평가했다. 주민만족도 조사는 시민 2637명을 대상으로 올바른 수거, 생활환경 보전, 시민편의, 종합 만족도를 평가했다. 주민대표·공무원·민간 전문가 등 4명으로 구성된 현장 평가단이 44개 동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가 지역 등을 방문해 수거 상태를 확인했다. 종합평가 결과, 13개 업체 중 9개 업체는 90점 이상으로 '탁월', 4개 업체는 80점 이상으로 '우수' 등급을 받았다. 3개 업체는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평가위원회는 대행업체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질 높은 청소행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대행업체를 대상으로 매년 1회 이상 주민만족도 평가, 현장평가, 서류평가 결과를 심의·의결한다.

12월 22일까지 '2025 농림어업총조사'

수원특례시가 12월 22일까지 '2025 농림어업총조사'를 실시한다.

농림어업총조조사는 5년마다 시행하는 국가통계조사로 우리나라 모든 농림어가의 규모·구조, 경영 형태 등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 결과는 국가 농정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조사 대상은 수원시 내 모든 농림어가 2만 1079가구다. 11월 20일부터 12월 10일까지 인터넷 조사를 먼저 하고, 인터넷 조사를 완료하지 않은 가구는 조사원이 12월 2일부터 22일까지 방문·면접 조사한다. 조사 항목은 농업·임업·어업·지역 조사 등 총 133개다. 스마트농업, 외국인 가구원 정보, 농업고용 등 최근 농산어촌 환경 변화를 반영한 신규 항목도 포함됐다. 조사 결과는 2026년 4월 잠정 공표 후 9월에 확정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