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07.14 16:27

미세먼지 차단 숲·생활밀착형 숲·자녀안심 그린숲 등 도심녹지 조성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자료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그린 뉴딜 방안을 내놨다. 

정부는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등의 차질 없이 이행을 통한 탄소중립을 목표로 경제·사회의 과감한 녹색전환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같은 그린 뉴딜을 위해 정부는 ‘도시·공간·생활 인프라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의 추진방향을 마련했다. 그린 뉴딜은 2025년까지 총사업비 73조4000억원(국비 42조7000억원) 투자해 일자리 65만9000개를 창출하게 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우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녹색 친화적인 국민의 일상생활 환경을 조성한다. 25개 지역에 도시 기후·환경 문제에 대한 종합진단을 통해 환경·ICT 기술 기반 맞춤형 환경개선을 지원하고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해 미세먼지 차단 숲(630ha), 생활밀착형 숲(216개소), 자녀안심 그린숲(370개소) 등 도심녹지를 조성한다. 또 자연 생태계 기능 회복을 위해 국립공원 16개소·도시공간 훼손지역 25개소·갯벌 4.5㎢를 복원한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전국 광역상수도(48개 시설)·지방상수도(161개 지자체) 대상 AI·ICT 기반의 수돗물 공급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지능형 하수처리장(15개소) 및 스마트 관망 관리를 통한 도시침수·악취관리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수질개선·누수방지 등을 위해 12개 광역상수도 정수장을 고도화하고 노후상수도는 개량한다.

이 같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에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30조1000억원(국비 12조1000억원)이 투자된다. 일자리는 38만7000개 창출이 기대된다.

정부는 적극적 R&D·설비 투자 등으로 지속 가능한 신재생에너지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시대를 준비한다.

먼저 전력수요 분산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해 아파트 500만호 대상으로 AMI(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계량기)를 보급하고 전국 42개 도서지역 디젤엔진 발전기의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을 위해 친환경 발전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을 지원한다.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고정식·부유식) 입지 발굴을 위해 최대 13개 권역의 풍황 계측·타당성 조사를 지원하고 배후·실증단지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태양광의 경우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사업을 도입하고 농촌·산단 융자지원은 확대한다. 주택·상가 등 자가용 신재생설비 설치비도 20만 가구에 지원한다.

특히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도 확대한다. 전기차의 경우 승용(택시 포함)·버스·화물 등 누적 113만대를 보급하고 충전 인프라는 확충(급속충전기 1만5000대, 완속충전기 3만대, 누적)한다. 수소차는 승용·버스·화물 등 수소차 20만대(누적) 보급하고 충전 인프라는 450대 설치한다. 수소 생산기지 등 수소 유통기반도 구축한다.

정부는 이 같은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을 위해 2025년까지 총사업비 35조8000억원(국비 24조3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20만9000개 창출에 나선다.

그린 뉴딜의 마지막 과제는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이다. 정부는 미래 기후변화·환경 위기에 대응해 전략적으로 도전할 녹색산업을 발굴하고 이를 지원하는 인프라 전반을 확충해 혁신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7조6000억원(국비 6조3000억원)이 투입되며 일자리 창출 효과는 6만3000개 수준이다.

녹산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정부는 녹색 선도 유망기업을 육성한다. 환경·에너지 분야 123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주기(R&D·실증·사업화) 지원하고 그린스타트업 타운은 1개소 조성한다. 생산·판매 등 지원 기능을 융합한 지역 거점인 ‘녹색 융합 클러스터’도 구축한다.

이외에도 에너지 발전·소비를 실시간 모니터링·제어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스마트 에너지 플랫폼도 10개소 조성한다.

또 녹색혁신 기반 조성을 위해 R&D·금융 등을 지원한다. 대규모 CCUS(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기술) 통합실증·상용화 기반 구축, 이산화탄소로 화학원료 등 유용물질 생산 기술개발 등을 지원한다. 기업의 환경오염 방지 투자 등을 위한 융자 1조9000억원 및 녹색기업 육성을 위한 2150억원 규모의 민관 합동펀드도 조성한다.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