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전다윗 기자
  • 입력 2022.05.12 11:46

내년까지 분야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정…비전공 학생 대상 '첨단산업 브레인 트랙-반도체 분야' 연내 신설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 라인에서 작업자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 라인에서 작업자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뉴스웍스=전다윗 기자] 윤석열 정부가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육성에 주력한다.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 확대를 검토하고, 반도체 각 분야별로 전문화된 반도체 대학원을 지정할 계획이다. 비전공 학생이 반도체 산업에 진입할 수 있도록 부전공 및 전공 전환 교육 과정도 마련한다.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정책도 협의하고 있다. 이러한 인재 육성책은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우선 추진하고 실적에 따라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다른 첨단산업 분야까지 확산한다. 

12일 뉴스웍스가 입수한 대통력직인수위원회 '국정과제 이행계획서'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전문인력 육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현재 국내 반도체 업계는 고질적인 인력난에 신음하고 있다. 늘어난 수요에 대응해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지만, 사업 규모에 걸맞는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연간 1만명의 신규 인력이 필요하지만 반도체 학과에서 배출하는 졸업생은 1년에 650명 수준에 불과한 탓이다. 업계는 오는 2031년까지 3만명의 반도체 전문인력이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인력 문제가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 나선 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를 고려해 새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주요 국정 과제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은 인력 문제가 시급한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우선 추진하고, 실적에 따라 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다른 첨단산업 분야로 확대한다. 

우선 2023년까지 반도체 특성화대학을 지정해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 확대를 검토한다. AI반도체, 전력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패키지 등 분야별로 전문화된 반도체 대학원도 내년까지 지정할 계획이다.

비전공 학생이 반도체 산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부전공·전공 전환 교육 과정 '첨단산업 브레인 트랙-반도체 분야(가칭)'는 올해 안에 신설한다. 예산은 교육부와 산업부가 협업해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30개 대학이 참여를 준비하고 있다. 반도체 분야별로 산업맞춤형 과정으로 운영하며, 학생 등록 실적이 우수한 대학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제공도 검토한다.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개발을 석‧박사생이 경험할 수 있는 산학 프로젝트 및 교과 과정도 지원한다. 수요 기업과 정부 간 공동투자에 기반한 인성 양력 프로그램 신설‧확대도 추진한다. 

기업이 스스로 인재의 기술고도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사내대학, 기업대학 등의 활성화도 돕는다. 기업 운영 실태 현황 조사, 재정‧세제 지원 방안 등이 주요 지원책으로 거론된다. 

오는 2024년에는 교육부와 협의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졸업생의 채용을 확약하는 계약학과 운영을 지원한다. 대기업의 경우 소요 예산 전액을 부담해 반도체 계약학과를 늘려가는 추세지만,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이러한 인력 확보 방안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 라인 전경. (사진제공=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 라인 전경. (사진제공=SK하이닉스)

반도체 업계는 이러한 정부 계획을 반기는 모양새다. 다만 "새 정부가 더 과감히 칼을 뽑아 들 필요가 있다"고 요구한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정은 이미 앞서 발표된 국가첨단전략산업법(반도체특별법)에도 담긴 내용이고,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 확대 검토는 업계가 요구한 사항이긴 하지만 '검토'가 '실행'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앞서 반도체특별법 제정 당시 수도권 대학 반도체학과 정원을 늘려달라는 업계 요구가 "수도권에 투자가 쏠리면 지방이 소외된다"는 이유로 묵살된 바 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는 반도체를 필두로 인공지능(AI), 이차전지,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한 실천 과제로 ▲반도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 성장 기반 마련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이끌 인재 양성 ▲4차 산업혁명 기산 산업 역량 제고 ▲사회문제 해결형 신산업 성장 지원 등을 꼽았다. 

한편, 이번 국정과제 이행계획서는 '최종본'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차후 관련 내용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