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3.11.14 07:00

"은행권 '이자수익' 집중 성토 분위기 바꿀 중재자 필요" 공감대 형성

은행연합회 본관. (사진=차진형 기자)
은행연합회 본관. (사진=차진형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국내 은행권을 대표하는 은행연합회의 새로운 수장을 결정하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차기 은행연합회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무엇보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여당,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은행권의 '이자 수익' 문제에 집중 포화를 가하면서 이런 분위기를 바꿀 인사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군 발표 후 윤종규 KB금융 회장이 이탈하면서 후보군은 박진회 전 한국씨티은행장, 손병환 전 농협금융 회장, 임영록 전 KB금융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 등 5명으로 줄어든 상태다.

은행연합회는 오는 16일 열리는 3차 회추위에서 후보들을 면밀히 검토·평가한 뒤 최종 후보자 1인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후보군은 민간 출신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 눈길을 끌고 있다. 임영록 전 KB금융 회장을 제외한 4명의 후보 모두가 민간 출신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민간 출신 인사가 차기 회장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오지만 차기 회장 선출과 맞물려 금융당국과 정치권이 은행권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이에 따라 정부와 소통 창구 역할을 할 차기 회장에 거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윤종규 회장이 후보 고사 의사를 밝히면서 "은행권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분이 선임되길 바란다"고 전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는 현재와 같이 은행권이 어려운 시기에는 민간 출신보다는 은행산업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인물이 차기 회장으로 적합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정치권과 금융당국은 은행의 이자이익을 지적하며 상생금융을 강조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은행 종노릇' 발언을 한 이후 발언의 강도와 빈도는 더욱 높아졌다. 이에 일부 금융지주가 먼저 상생금융 계획을 밝혔지만, 그 것으로는 부족하단 질타를 받았다. 결국 16일 금융당국과 금융지주 회장이 모여 추가 상생금융안을 밝힐 예정이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은행연합회는 차기 회장 후보군 5명 가운데 1명을 단독 후보로 결정한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정부가 원하는 상생금융을 은행연합회에서 중재해 줄 수 있는 인물이 차기 회장감으로 유력한 셈이다. 일각에서 임영록, 조용병, 조준희 등 3명의 후보가 유력해 보인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먼저 임영록 후보는 정부 네트워크가 탄탄하다는 게 장점이다. 행정고시 20회 출신으로, 기수로 봤을 때 현 정권의 금융권 인사 중 가장 선배다.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행시 25회이며 최상목 경제수석은 행시 29회다. 은행권에선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행시 24회), 이석준 농협금융 회장(행시 26회), 김광수 은행연합회장(행시 27회)보다도 임 후보가 한참 선배에 속한다. 방패막이 필요한 은행권 입장에선 가장 원하는 인물인 셈이다.

정부와의 친밀도를 따지자면 조준희 후보도 만만치 않다. 조 후보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대선캠프에서 금융산업지원본부장으로 활약해 현 정권과 인연을 쌓았다. 역대 은행연합회장들 가운데 대부분이 당시 정권과 인연이 깊은 인물이 많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권 실세와 인맥을 두텁게 쌓은 조 후보도 무시할 수 없는 후보군이라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조용병 후보는 금융권에서 실력으로 인정받는 CEO다. 회장 재직 시절 리딩뱅크 자리를 뺏어오며 신한금융의 전성기를 만들었고, 최근 은행권이 주요 화두인 ESG 경영에서도 눈에 띄는 활약을 펼친 경험이 있다. 하지만 현재 은행권 상황이 금융당국과의 소통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임을 감안할 때 지금과 같은 위기 상황을 제대로 돌파해 나갈지는 우려되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량급 인사가 포함된 금융지주 회장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금융당국과의 가교 역할을 통해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적임자는 그리 많지 않다"면서 "차기 회장은 이런 역할을 할 후보가 되는 것이 업계의 바람"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