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우성숙 기자
  • 입력 2023.12.09 00:01
(자료제공=서울시)
(자료제공=서울시)

[뉴스웍스=우성숙 기자] 서울시가 기후위기 대응과 대중교통 활성화를 목표로 선보이는 '기후통행카드'를 발급받으면 내년 1월부터 월 6만5000원으로 서울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까지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지하철 정기권에 버스, 따릉이까지 이용범위를 확대한 개념이다. 버스-전철 환승제도에 이은 서울시의 야심작인 기후동행카드가 새로운 교통혁신을 이끌지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6만5000원이라는 금액이 다소 비싸고, 서울과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인 경기지역의 대부분이 이용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 등을 예로 들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는 기후동행카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보완할 점도 많다는 의미다.

하지만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추구하는 목적과 방향은 누가 봐도 옳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은 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이다. 실제 기후동행카드는 아무리 좋은 대중 교통수단이 있어도 이용하지 않으면 의미가 퇴색된다는 판단에서 출발했다. 교통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친환경 버스 교체, 전기택시 보급 등 하드웨어 교체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고 본 것이다.

이미 일부 선진국에서는 그 효과를 입증했다. 독일의 경우 9유로(1만2000원)에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하는 '9유로 티켓'을 지난해 6월 실험적으로 운영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낮춘 것은 물론이고 교통 혼잡까지 개선하는 효과를 경험했다. 이런 실험 결과에 따라 독일은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7만원)에 장거리 기차를 제외한 거의 모든 대중교통을 포괄하는 '도이칠란트 티켓(D-Ticket)'을 본격 도입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정착되면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와 여가·문화 등 시민활동 전반에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을 늘이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탄소저감은 물론 대중교통 이용 확대, 교통복지 측면에서 모두 정책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는 얘기다.

하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무엇보다 이용지역과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용지역을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하고,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물밑작업도 가시화하고 있다. 지난달 17일 인천시가 기후동행카드에 합류한데 이어 김포시도 지난 7일 동참하기로 결정하면서 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김포시는 김포골드라인, 김포 광역버스를 포함해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도록 기후동행카드의 적용 확대를 추진하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용권역 확대는 물론 기후동행카드 확장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였던 광역버스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주민들의 선택권까지 다양해져 통근·등교 편의가 크게 향상되고 교통비 부담도 대폭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논의는 수도권 다른 지자체로도 급속히 확산되어야 한다. 서민들의 빡빡한 주머니 사정을 고려해 이용료를 낮추거나 저소득층에 대한 할인 확대 방안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대중교통 취약 지역 인프라를 확충하고 편의성 개선도 추진한다면 금상첨화다. 그래야만 탄소저감과 대중교통 확대, 교통복지라는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