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3.12.05 10:30
차진형 기자.
차진형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희망퇴직 실시 여부를 결정 짓지 못하고 있다. 이자수익으로 돈잔치를 한다는 여론의 따가운 시선 때문에 특별퇴직금 규모를 확정하지 못한 탓이다.

올해의 경우 68년생이 임금피크가 적용되며 69년생도 희망퇴직 신청 명단에 오른다. 우리은행의 임금피크 적용 대상자는 약 350명으로 전해졌다.

임금피크를 앞둔 은행원들은 지난해 수준의 특별퇴직금을 원하고 있다. 당시 은행권은 최대 36개월 치의 특별퇴직금을 보상했다.

그러나 올해는 과거만큼의 보상을 기대하기 힘들어 보인다. 앞서 희망퇴직을 진행한 농협은행의 경우 최대 28개월 치를 조건으로 내세웠다. 1년 전 특별퇴직금이 39개월 치였던 점을 감안하면 대폭 축소된 것이다.

아직 희망퇴직 보상을 결정하지 못한 국민, 우리은행도 비슷한 조건이 나올 것이란 후문이다. 일각에선 특별퇴직금의 최대치가 20개월을 넘기지 못할 것이란 말도 나온다.

특별퇴직금이 예년보다 못할 경우 임금피크 직원들은 대부분 은행에 남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 때문에 승진 인사부터 신규 채용까지 꼬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시중은행은 희망퇴직 후 본부장 인사를 단행해 왔다. 임피 대상 지점장을 솎아낸 후 승진 인사를 하는 게 관례였다. 이를 감안하면 우리은행은 다음 주까지, 국민은행은 이달 말까지 희망퇴직 대상자를 확정할 필요가 있다.

희망퇴직 일정이 꼬인다면 승진한 지점장보다 고참 선배가 함께 근무하는 불편한 상황이 연출된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원은 “퇴직 시기가 다가온 선배들은 과거 수준의 보상을 받지 못하면 그대로 지점에 남아 있을 수 있다”며 “이 경우 지점 직원들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하루빨리 은행 노사가 논의해 결론을 내려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더욱 큰 문제는 희망퇴직 신청자 수가 적으면 내년 신입직원 채용에도 걸림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올해 5대 은행은 약 2500여 명을 신규 채용했다. 지난해 희망퇴직자 수가 2300명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빠진 인원만큼 직원을 뽑은 셈이다.

은행 노사도 묘수풀이가 쉽지 않다. 금융당국의 이자장사 비판으로 직원들에게 특별퇴직금을 펑펑 쓰기 부담스럽다. 이미 지난해 희망퇴직 비용으로 1인당 4억원 상당의 비용을 지불해 돈잔치 비판에 직면한 상황이다.

일각에선 꼼수 이야기도 들린다. 특별퇴직금 수준은 낮추는 대신 실제 퇴직 시기는 뒤로 늦춰 임금을 보존해 주는 것이다. 연말 희망퇴직 명단에 올라도 퇴직 시기가 내년 5월이면 그동안 급여는 물론 3월 직전년도 성과급, 4월 경영성과급 모두를 챙길 수 있어 예년 수준의 보상금을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이 역시 판관비는 증가하게 돼 조삼모사란 비판에 놓일 수 있다. 결국 은행 노사는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문제를 서로 탓으로 돌리며 시간을 늦출수록 영업 현장은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