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우성숙 기자
  • 입력 2023.12.14 22:00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뉴스웍스=우성숙 기자] 정부가 로봇이 많이 쓰이는 제조업에서부터 농업·물류·서비스·국방·사회 안전·의료·돌봄에 이르는 산업과 사회 모든 영역에 2030년까지 100만대 이상의 로봇을 보급해 국내 시장을 키우고 생산인구 급감에 대응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민간과 함께 3조원 이상을 투자해 2021년 5조6000억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30년엔 20조원 이상으로 4배 가까이 키울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4일 공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로봇분야에 3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감속기 등 5개 하드웨어 기술과 자율 조작 등 3개 소프트웨어 기술 등 8대 핵심기술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8대 핵심 기술은 서보모터, 감속기, 센서, 그리퍼, 제어기, 자율이동 소프트웨어, 자율조작 소프트웨어, 인간-로봇 상호 작용 기술(HR) 등이다. 내년 상반기 중 해당 목표를 구체화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할 계획이다.

첨단 로봇산업을 이끌 전문 인력 확보도 적극 추진한다. 미래차·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로봇 전문 인력 1만5000명 이상을 양성하고, 이를 통해 매출액 1000억원 이상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을 30개 이상 육성하겠다는 게 목표다. 이를 기반으로 로봇 수출도 2021년 1조1000억원에서 2030년 5조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제조업·물류·복지·안전 등 전 산업 영역에 2030년까지 로봇을 100만대 이상 보급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현재 자동차와 전기·전자 등 특정 분야에 집중된 로봇 활용을 농업, 물류센터, 택배 배송, 음식점 서빙 등 일손 부족 문제가 커지는 분야로 활용도를 높여 생산인구 감소 공백을 메우고, 'K-로봇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겠다는 복안이다.

사회 영역에서 성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 돌봄과 의료 분야에도 로봇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병원, 요양원, 가정에 걸쳐 30만대의 돌봄·의료 로봇 보급을 목표로 제시하고 제도적 기반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인력 자원 부족에 시달리는 국방 분야에서도 급식을 돕는 '취사병 로봇'을 보급하고, 감시·정찰 등 위험 임무에도 로봇을 활용하기로 했다. 경찰의 일상 순찰도 로봇이 돕는 등 국방·안전 분야에만 2만대의 '로봇 군경'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면 생산성 향상과 사고율 저감 등 로봇의 산업·사회적 기여도가 높아질 것임은 분명하다. 또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트랙 레코드를 쌓으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도 자연스럽게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런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 인증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해 로봇 산업의 현실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도 갖출 예정이다. 2000억원을 투자해 실증 실험할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구축할 계획이다.

일단 정부의 계획은 환영할 만 하다. 방향도 맞고 반드시 가야할 길이기도 하다. 다만 넘어야할 산도 많다. 무엇보다 노동계의 반발이 걱정이다. 근로자를 지원하는 협동 로봇 등 첨단 자동화 설비를 만들어놓고도 한국이 아닌 싱가포르에 스마트 공장을 지은 현대자동차의 사례는 더 이상 없어야 한다. 과감한 규제 혁파도 필요하다. 그래야 글로벌 로봇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로봇 산업의 르네상스도 가능해 진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