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우성숙 기자
  • 입력 2022.03.17 11:28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웍스=우성숙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일 3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올해 남은 6번 회의 때마다 금리를 올릴 수 있음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연준의 다음 행보와 미국 경제의 향방에 세계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연준은 2015~2018년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했고, 마지막 인상은 2018년 12월이었다. 이 같은 금리인상이 세계경제의 불안정을 낳자 2019년 7월부터는 다시 금리를 내렸고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사실상 제로금리를 유지해왔다.

이번 금리인상은 제로금리 시대가 끝났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치에 따라 현재 0.00~0.25%인 기준금리는 0.25∼0.50%로 0.25%포인트 인상됐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여기서 그치지 않을 전망이다. 올해 연준 회의가 6차례 남았는데 회의 때 마다 0.25%포인트 혹은 0.5%포인트를 올려 올해 말에는 금리가 1.875% 정도가 될 것이라는 것이 연준 위원들의 전망이다. 또 내년 말 금리를 2.75%로 예측해 내년에도 금리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최근 물가상승률이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급격한 물가상승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 10일 발표된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8% 오르고, 전년 대비 7.9% 올랐다. 7.9% 상승은 1982년 1월 이후 최고치다.

금리인상과 함께 이르면 5월부터 미국이 자산 축소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걱정이다. 연준은 "다가오는 회의에서 국채와 기관 부채, 주택저당증권(MBS)의 보유를 줄이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해 머지않아 양적긴축에도 본격적으로 착수할 것임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긴축 정책이 미국은 물론 세계인의 삶에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세계 경제는 아직 코로나19의 충격으로부터 회복하지 못했고, 미국 역시 낮은 실업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실질 임금이 상승할 기미는 전혀 없다. 수입은 늘지 않는데 금리인상으로 인한 이자부담과 물가상승이라는 이중 부담을 져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우리 역시 미국의 긴축정책에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우리 통화당국은 "미국의 금리인상은 당초 시장 예상에 부합한 수준이고, 국내 기준금리를 코로나 이전 수준인 1.25%로 올렸기 때문에 국내 시장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지만, 미국이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한 상황이어서 우리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여기에 러시아의 디폴트가 현실화할 경우 글로벌 차원의 유동성 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우리에게는 더 큰 악재다. 만약 러시아의 채무불이행이 발생하면 1998년 러시아 국채 투자 손실 등으로 파산한 미국 헤지펀드 롱텀캐피털(LTCM) 사태와 비슷한 양상이 벌어질 수 있어서다.

서둘러 미국의 금리인상과 러시아 부도 가능성이라는 두 개의 악재가 동시에 몰려올 것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로 인해 악화할 국민의 삶을 보호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이미 위험 수준에 도달한 가계 및 자영업자의 부채 위험을 관리가 급선무다. 만약 이를 관리하지 못하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