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백종훈 기자
  • 입력 2023.10.18 12:00

"종합은퇴 솔루션서비스 개발·제공 필요"

보험연구원. (사진=백종훈 기자)
보험연구원. (사진=백종훈 기자)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보험업계 미래먹거리 시장의 핵심으로 '노년층 보험수요'가 떠오르고 있다. 곧 노인층에 접어들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사회적 부양여건이 향후 악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의 경제력은 전 노인세대보다 개선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80~90세에 진입하는 10여 년 뒤에는 요양서비스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요양시설 및 서비스 공급확대 검토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18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 출생자)의 노인인구 진입과 함꼐 노인인구 수는 급속히 증가해 2050년에는 19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저출산 여파로 생산가능인구가 2017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면서 노년부양비는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2070년에는 노인인구와 생산가능인구의 수가 비슷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생산인구의 감소가 겹치면서 사회적으로 노인인구 부양여력이 크게 악화하는 시기가 곧 도래함을 의미한다.

다만 베이비부머 세대는 국민연금 가입률과 수령액에 있어서 전 세대보다 개선된 상태에 놓여 있다. 개인 자산규모나 소득여건도 좋아지면서 금융소비시장의 새로운 수요자로 떠오른 상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은퇴자들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길어지면서 수급자와 수급액이 동시에 증가했기 때문에 생겨났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국민연금 수급자는 약 667만명, 평균지급액은 연 5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2년 수급자 약 352만명, 평균지급액 연 328만원 대비 상향된 수준이다.

이에 더해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근로소득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고령자 근로소득은 2008년 연평균 45만5000원에서 2020년 연평균 375만5000원으로 늘었다.

이처럼 고령자 경제적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상속이나 증여 등 주로 고령자가 주도하는 자금 이동의 규모 또한 큰 폭으로 커지고 있다. 상속과 증여자산 가액은 2002년 10조원 미만 수준에서 지난해 40조원 수준을 상회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과거 가족 내 이루어지던 요양의 기능이 가족 구성원 밖에서 이뤄지면서 노인 생활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위험보장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2021년 기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내 병상 수는 47만5000여 개로 2008년 기준 14만3000여 개 대비 두 배를 넘어섰다.

자녀와 분리되어 사는 고령층 가구, 만혼에 따른 1인 가구, 무자녀 혼인부부 등이 증가하면서 가족 구성원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보험업계는 고령층의 자산관리, 상속 및 증여, 건강관리 등과 같은 수요증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서 정체하고 있다.

특히 금융업권별 신탁·수탁고를 살펴보면 보험업계의 비중은 미미한 상태다. 2018년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보험업계의 신탁·수탁고는 2018년 22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20조4000억원, 2020년에는 17조9000억원까지 줄었다. 

반면 은행업계와 증권업계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각각 435조1000억원에서 492조6000억원, 208조8000억원에서 251조1000억원까지 규모를 늘렸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독립적이고 경제력 있는 노인층의 금융적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생명보험 및 손해보험의 개인성보험의 보험료 추이를 살펴보면 모두 2013년경을 기점으로 성장성이 둔화했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보험사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에 맞추어 신사업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며 "한국 경제성장을 주도한 베이비부머의 본격적 은퇴는 경제력을 갖춘 새로운 노년층의 등장과 이에 따른 새로운 보험수요의 확대를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0년 이후 베이비부머 세대가 80~90세에 진입하면서 요양서비스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노년층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요양시설 및 서비스 공급 확대 검토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은퇴 이후에 발생하는 주요 이벤트에 따른 고령자의 서비스 수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종합은퇴 솔루션서비스 등을 개발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