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3.06.02 13:31

전남 담양 대덕 매산 지역활력타운 500세대 조성…광주광역시 20분 거리 '장점'

(그림제공=행안부)
(그림제공=행안부)

[뉴스웍스=최승욱 기자] 전국 228개 시·군·구 중에서 118곳이 인구 소멸 위험지역이다. 향후 거주하는 주민이 사라질 곳은 대부분 지방이다. 괜찮은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하다보니 지방에서 자란 청년들의 상당수는 고등교육을 마친 이후 수도권 진입을 꿈꾼다. 현대중공업이 성남시 정자동에 글로벌 R&D센터를 세워 운영하는 이유는 더 이상 울산에서는 대규모 고급연구인력을 구하기 힘들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처럼 지역 간에 일자리 격차가 큰 현실을 단기간 내 해소할 묘책은 사실상 없다.

기업에 근무하는 젊은이들이 수도권 대도시에서 만족할 만한 집을 얻는 것은 매우 어렵다. 정부는 지방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청년에게 장기근속을 촉진하는 지원금을 제공하고 재택근무와 유연근무 활용을 장려하며 유아 돌봄교육 서비스도 강화하는 대책을 마련, 적극 시행해야 한다. 주거비용이 저렴한 지역에 청년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필요하다.

사람이 살지 않으면 집이 망가지듯이 주민이 떠나면 마을은 폐허가 된다. 이를 막으려면 생업을 그만두고 귀농·귀촌·귀어 등을 통해 제2의 인생을 찾으려는 수도권 은퇴자들이나 '슬로 라이프'를 꿈꾸며 한달살기 체험을 거쳐 지방 정착을 희망하는 청년들이 정착할 만한 집과 활동공간을 지원해주는 것이 단기적인 해법이다.

농어촌 지역은 양질의 주택이 드문데다 사회간접자본도 태부족, 생활하기가 불편하다. 의료서비스도 열악하다. 군 단위 농어촌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는 전체의 4%에 불과하다.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상급종합병원이나 종합병원과의 이동 거리가 너무 먼 곳은 선호 거주 대상지에서 밀려나기 십상이다. 

(그림제공=행안부)
(그림제공=행안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 7개 부처가  시행하기로 한 대책이 '지역활력타운'이다.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모델로 살기 좋은 주거단지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복합체육센터와 커뮤니티센터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춰진다. 제대로 운영된다면 국토 균형 발전 효과도 기대된다.

지역활력타운의 핵심은 주거와 서비스, 일자리를 동시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고령친화 설계·무장애 설계를 적용하고 첨단 에너지절감기술을 채택한 타운하우스나 단독주택을 건물과 토지별로 분양 또는 임대로 공급한다.

매력적인 주거단지를 만들려면 역량을 갖춘 건축가가 있어야 한다. 이달 중 사업별 자문건축가 공고를 통해 모집한다. 지자체는 이들의 도움으로 지역별 개성을 살려 주거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도시에 비해 땅값이 저렴한 지역이기에 입주자의 부담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도시지역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농촌공동아이돌봄과 사회적농장 등 연계사업을 농림부가 제공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문체부는 여가·문화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국민체육센터 건립을 지원한다. 지역활력타운 입주민들은 실내체육관에서 각종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노인맞춤돌봄이나 응급안심서비스, 노인일자리 사업 지원은 복지부가 맡는다. 중기부는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직업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일자리 관련 연계사업을 지원하고 해수부는 사업대상지가 어촌일 경우 경제생활 인프라를 돕는다.   

국토부는 지역활력타운 공모절차를 운영하고 지역개발 사업과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주거공급과 기반시설 지원을 책임진다. 한국주택도시공사는 지자체의 요청 등에 따라 주거 및 기반시설을 조성하게 된다. 행안부는 연간 1조원 수준의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지역활력타운의 다양한 협력사업을 지원한다. 7개 부처마다 고유 업무에 따라 지역활력타운 활성화를 돕는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정부는 지역활력타운 공모 결과 강원 인제군, 충북 괴산군, 충남 예산군, 전북 남원시, 전남 담양군, 경북 청도군, 경남 거창군 등 7곳이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7개 지역 대부분이 대도시권과 멀지 않아 의료·교육시설 등 기존 생활인프라를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이번에 처음 선정된 지역활력타운 조성지역들은 입지가 좋고 지자체의 준비도 우수한 곳으로 평가됐다. 단지 조성이 완료되면 입주민들의 원활한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농촌공동체아이돌봄·일자리·창업 지원, 사회적농장·대학연계 강의 등 다양한 생활서비스가 지원될 예정이다.

강원 인제 지역활력타운 인제부ː터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강원 인제 지역활력타운 인제부ː터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7개 지역 중 수도권과의 짧은 이동거리를 강조하는 인제군과 최대 사업규모를 내세우는 담양군이 돋보인다.

강원 인제는 오는 2027년 개통 예정인 KTX 인제역에서 도보권에 '인제부 ː 터'를 조성한다. 타운하우스와 청년임대 주택 90세대를 짓는다. 스포츠센터를 세우고 비건 산업으로 주민 일자리를 제공한다. 총사업비는 502억원이고 면적은 2만9640㎡이다.

전남 담양 대덕 매산 지역활력타운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전남 담양 대덕 매산 지역활력타운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전남 담양은 광주광역시에서 20분 거리에 있는 대덕면 매산리에 귀농·귀촌 은퇴자를 대상으로 500세대 주거지를 조성한다. 대단지 민관협력 사업으로 진행한다. 파크골프장과 예술인 특화단지, 농촌유학시설, 커뮤니티 시설을 짓는다. 총사업비 1267억원에 면적은 26만8377㎡에 달한다.

다른 5곳도 각자의 특색을 갖춰 지역활력타운을 세울 계획이다.

충북 괴산 성산별빛마을 조감도. (사진제공=국토부)
충북 괴산 성산별빛마을 조감도. (사진제공=국토부)

충북 괴산은 은퇴자와 귀농·귀촌자를 겨냥해 '성산별곡; 성산별빛마을 행복을 노래하다'를 짓는다. 타운하우스 40호와 단독주택필지 15호를 공급한다. '마을 통째로 정원화' 한다는 목표 아래 정원식물 스파트팜, 사회적 농업 케어팜을 조성한다.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와 함께 괴산을 알아가기 위한 마을여행사를 설치, 입주민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243억원에 면적인 3만4866㎡이다.

충남 예산 '新활력 UP타운'  조감도. (사진제공=국토부)
충남 예산 '新활력 UP타운'  조감도. (사진제공=국토부)

충남 예산은 예산시장에서 창업하는 지역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25세대를 짓는다. 입주민과 지역주민이 쓸 수 있도록 버스스테이션과 자활센터쉼터, 청년체육시설이 포함된 청년레지던스도 조성한다. '新활력 UP타운' 조성 사업비는 총 157억원이다. 면적은 13만7600㎡이다.

전북 남원 지리산 활력타운 조감도. (사진제공=국토부) 
전북 남원 지리산 활력타운 조감도. (사진제공=국토부) 

전북 남원은 지리산 자락 해발 600m 고지에 귀향·귀촌민이 살 수 있도록 타운하우스 36호, 단독주택 32호, 타이니하우스(임시주거기설)10호를 짓는다. '지리산 활력타운'에 커뮤니티센터, 소규모 체육관을 조성한다. 입주민에게 텃밭을 제공한다. 인근 허브밸리를 활용, 여가  선용 및 일자리 기회도 지원한다. 총사업비 270억원에 면적은 3만3993㎡이다.

경북 청도  '청 려 도원'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경북 청도  '청 려 도원'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경북 청도는 청년과 귀농인을 대상으로 주거와 취·창업 공간이 결합된 맞춤형 주거단지인 ‘청 려 도원’을 조성한다. 단독주택 20호와 임대주택 30호를 조성하고 생활문화센터, 취·창업지원센터를 세운다.투자회사 유치를 통해 창업을 지원하고 유아친화형 국민체육센터를 설치한다. 총사업비는 396억원에 면적은 3만8889㎡이다.

경남 거창  '지식-IN 거창아로리타운'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경남 거창  '지식-IN 거창아로리타운' 조감도. (사진제공=행안부)

경남 거창은 전문직 은퇴자를 겨냥해 '지식-IN 거창아로리타운'을 조성한다. 타운하우스 32세대와 단독주택 18세대와 함께 복합문화센터, 국민체육센터를 설치한다. 대학연계형 은퇴자마을이 되도록 거창대학과 승강기대학교를 활용, 입주민에게 연구와 강의기회를 제공하고 평생교육서비스도 이용하도록 한다. 총사업비는 277억원에 면적은 2만9995㎡이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활력타운은 은퇴자 또는 농촌지역에서의 새로운 삶을 꿈꾸는 도시민들이 정착지로 고려해볼만한 곳이다. 다만 최초 공모에서 어촌지역이 빠진 것이 아쉽다. 지역활력타운별로 약속한 사업계획이 차질없이 실행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주거와 문화, 복지가 결합된 수요맞춤형 주거거점이라는 지향점이 실제 운영과정에서 달성되어야 한다. 이중의 하나라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애써 유치한 주민들이 다시 빠져나갈 우려가 높다. 

7개 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이번 사업이 성과를 올려야만 추가 사업이 지속될 수 있다. 단독 프로젝트가 아니라는 점에서 부처간 공조에서 흔들림이 생겨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지역활력타운이 성공하려면 해당 지자체의 적극적인 도움도 반드시 요구된다. 단지 건축에 필요한 인·허가를 조속히 지원하고 작은도서관이나 영화관, 생활문화체육센터 건립을 지원해 입주민으로부터 호평이 나오도록 힘써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